행정구역 설계 결과 어떻게?.. 내달 중간보고회서 공개

행정구역 설계 결과 어떻게?.. 내달 중간보고회서 공개
행정체제 모형안 2개 압축.. 행정체제 구역안 나누기 작업 본격화
용역진, 30일 마을 단체 등 도민 대표 대상으로 의견 청취 예정
이후 구역안 행개위 보고, 내달 11~13일 용역 2차 중간보고 계획
  • 입력 : 2023. 08.29(화) 15:36  수정 : 2023. 08. 30(수) 16:16
  • 강다혜기자 dh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위원회 기자회견.

[한라일보]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모형안이 시군구 기초단체 부활과 행정시장 직선제로 좁혀진 가운데, 두 가지 모형안을 바탕으로 도출한 행정구역 조정안이 조만간 공개될 예정이다.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 공론화를 위한 도민참여단은 앞서 지난 19일 숙의토론회를 열고 '시군구 기초자치단체'와 '행정시장 직선제'를 적합 대안으로 선택했다.

두 모형은 모두 주민들이 직접 단체장을 선출하는 방식이다. 차이점은 시군구 기초자치단체 모형의 경우 기초단체를 부활시켜 의결기관인 기초의회까지 갖춘다는 것, 행정시장 직선제는 현재의 행정체제를 유지하며 시장을 직접 뽑는다는 점이다.

행정체제 모형안 대안이 도출되면서 관심은 다음 절차인 행정구역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즉 행정구역 조정안 설계로 떠올랐다.

앞서 행정구역에 따라 과거 제주시·서귀포시·북제주군·남제주군 4개 시군의 형태 또는 제주시·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등 4개 권역, 국회의원 선거구 또는 경찰서 관할 기준으로 맞춘 3개 구역 등이 제안돼 왔다. 이같은 조정안을 포함해 생활권을 고려한 또다른 행정구역안 등에 대한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을 위한 공론화 연구용역의 중간보고회가 9월 11~13일 사이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중간보고회에서는 연구진이 마련한 행정구역 조정안이 공개된다. 지난 7월 열렸던 앞선 중간보고회에서는 행정체제 모형 대안을 공개한 바 있다.

용역진은 행정구역안 도출을 위해 30일 도내 마을 단체 대표 등을 만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할 예정이다. 이어 마련한 행정구역안을 우선 행정체제개편위원회에 보고한 뒤, 검토를 거쳐 중간보고회를 통해 공개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행정구역안이 공개되면 내달 중 도내 16개 지역에 대한 도민경청회와 전문가토론회가 예정됐다. 이후 오는 10월 2030포럼과 도민 토론회가, 11월에는 도민 공청회가 계획됐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49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