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JDC와 함께 생각을 춤추게 하는 NIE] (2)게임리터러시

[2024 JDC와 함께 생각을 춤추게 하는 NIE] (2)게임리터러시
게임 즐기며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능력 키우기
  • 입력 : 2024. 06.05(수) 00:00  수정 : 2024. 06. 11(화) 12:30
  • 오소범 기자 sobo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게임, 개념·장르·역사 등 기본적 이해 바탕 들여다보기
긍정적 측면 발전시키고 문제점은 예방 실천 약속 유도

청소년 교육을 하다 보면 '게임'이라는 단어만 언급해도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변한다. 현재 우리가 소유한 개념인 게임리터러시는 게임을 사용하는 데에만 지나치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혼동할 수 있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과 게임리터러시(Game literacy)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 속에 있는 스토리, 다양한 미션, 재미 요소 등을 게임이 아닌 영역에 접목해 사람들이 싫어하거나 어려워하는 대상을 게임처럼 즐기도록 만드는 방법이다. 공공 서비스, 기업경영, 의료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특히 교육현장에서 활발하다. 과학, 공학, 인문, 사회, 예술 등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을 접목해 재미있는 교육 프로그램들을 만들고 있다.

게임리터러시는 '게임의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즐기고,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게임을 건전하게 이용하며, 게임을 만들고 공유하는 능력'을 의미한다.쉽게 설명하자면, 게임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 한 권을 읽고 해석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 미디어 문해력업(UP)' 연재에서는 게임이라는 디지털 미디어 매체를 이해하고 게임이라는 매체를 조금 더 들여다보면서 긍정적인 측면은 더 발전시키고 부정적인 측면, 즉 게임과 몰입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은 예방하는 실천 약속을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게임이란 뭘까?", "게임의 종류는?", "게임은 누가 만들었고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수업을 진행한다. 특히 경주 연못 펄바닥에서 나온 14면체 주사위 '주령구'를 소개하며 통일신라 때도, 어른들도 게임을 좋아했다는 이야기를 전할 때쯤 묘한 동질감을 느끼는 것도 같다.

'게임리터러시' 수업은 ▷1단계 : 게임에 대해 게임화의 요소, 개념, 게임의 장르, 역사 등의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2단계 : 내 삶과 연관 지어 나의 게임 습관 분석 및 게임 메시지를 분석해 자신의 생각을 들여다보고 ▷3단계 : 자신의 생각을 구현하는 나만의 게임을 만드는 창작 활동과도 연계된다. 나만의 게임을 만드는 방식은 보드게임부터 게임 웹디자인적인 IT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되기도 한다. 4단계는 게임 과몰입이 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자신만의 실천 방법, 게임세계에서 지켜야 할 에티켓 등 함께 생각 나누기 활동으로 구성했다. <이현화/미디어교육연구회'ON'>

수업 이렇게 진행했어요

▷주제에 대한 관심 끌기

-게임의 개념, 게임의 장르, 게임의 역사 이해하기

-주령구, 게임명, 캐릭터 등 맞추기 퀴즈 형식으로 진행

-내가 좋아하는 게임의 선호도 밸런스 게임 진행



▷게임과 연관된 정보 탐색

-일상생활 속 게임 요소 찾기

-나의 게임 습관 점검하기

-게임 리뷰 영상 및 게임 관련 뉴스 탐색하기

-내가 주로 하는 게임 캐릭터 분석하기

-내가 좋아하는 게임 메시지 리뷰하기

-게임 분야 관련 직업과 게임 개발에 필요한 역량 알아보기



▷게이미피케이션 적용해서 게임 활동하기

- 게임 기획 및 설계 과정 알아보기

- 게임 기획서 작성하기

- 나만의 게임 만들기

- 내가 개발한 게임 설명하기



▷생각 나누기

- 게임 없는 세상 상상해 보기

- 게임 세계에서의 에티켓



▶수업 팁(Tip)

-어렸을 때 경험해 봤던 게임을 소개해 주면서 요즘의 게임에 대해 질문해 주세요.

-일상생활 속에서 게임 시간, 게임의 종류, 게임의 이용 가능 연령 등 자녀가 이용하고 있는 게임에 관심을 가져주세요.

-자녀를 게임 과몰입으로 단정짓거나 부정적인 측면만 강조하지 않고 게임도 문화라는 인식하에 이야기 나눠주세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42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