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집단 휴진 예고... 제주 '비상 대응체계' 가동

18일 집단 휴진 예고... 제주 '비상 대응체계' 가동
도내 6개 보건소와 공공의료기관 연장 진료
응급환자 이송지침, 수용곤란 고지 지침 마련
집단휴진과 업무개시명령 불이행... 행정절차 대처
  • 입력 : 2024. 06.14(금) 14:27  수정 : 2024. 06. 16(일) 22:12
  • 이태윤 기자 lty9456@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18일로 예정된 대한의사협회의 집단 휴진에 대비해 비상진료체계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 등 비상대응에 나섰다.

14일 제주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개원의 집단휴진을 예고하고 전국 시도의사회의 파업 동참 가능성을 시사함에 따라 도는 18일 도내 6개 보건소와 공공의료기관(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제주권역재활병원)의 2시간 연장 진료를 실시한다. 도약사회와 협조해 도내 113개소의 약국에서 평일 심야시간과 주말 운영도 확대한다.

또 도 응급의료지원단을 비롯해 도내 6개 응급의료기관과 소방본부는 24시간 비상진료체계를 더욱 긴밀히 유지한다.

응급환자 전원·이송을 신속하고 적정하게 할 수 있도록 응급환자 이송지침 및 수용곤란 고지 지침을 마련했으며, 중증응급질환(심근경색, 뇌졸중) 골든아워 확보를 위해 6개 응급의료기관 전문의 33명과의 네트워크도 구축했다.

앞서 도는 지난 10일 행정시(보건소)와 협력해 총 500개 의원급 의료기관 등을 대상으로 ‘진료명령 및 휴진신고명령서’ 교부를 완료했다. 집단행동일(18일)에는 업무개시명령도 발령할 계획이다.

이와함게 행정시와 합동 행정점검반(77개반 154명)을 구성해 사전교육과 모의훈련 실시 등 행정조치 준비사항을 사전 점검했다. 앞으로 집단휴진 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휴진율 등 상황에 따라 즉각 대처할 계획이다.

의료공백 장기화에 대비해 분만·투석과 소아야간·응급진료 등 필수진료과 공백 예방을 위해 지정한 지역 필수의료 지키미 병원(44개소)을 대상으로 실국(과)장 병원책임관이 사전 점검과 현장 점검에 나서 환자의 건강을 위해 진료 유지에 협조를 당부할 계획이다.

특히 제주도는 도민의 생명을 담보로 실시하는 집단휴진과 업무개시명령 불이행 시에는 관련법 등 행정절차에 따라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의사회 등 의료계와 긴밀하게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공공·보건기관 연장진료 안내·홍보와 필요시 긴급재난문자 발송 등 도민들의 의료 이용 불편을 최소화해 나갈 예정이다.

강동원 제주도 도민안전건강실장은 “도민들의 의료 이용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문 여는 병의원 안내와 함께 24시간 응급실 진료체계가 정상 유지되도록 사전 점검을 통해 대응할 계획”이라며 “의료기관 방문 시에는 사전에 방문의료기관 전화확인 및 응급의료정보제공(E-Gen) 앱(App)이나 도와 보건소 누리집을 통해 문 여는 의료기관 정보를 확인한 후 방문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1 개)
이         름 이   메   일
393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의새.고발하라 2024.06.15 (04:49:45)삭제
고발하라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