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포커스]조릿대 확산…한라산 생태계 보존·관리 시험대-(중)심층연구·정부공조
국가적 식물유전자원 손실 우려방목 등 심층 연구·공감대 과제환경부·문화재청 등 공조 절실 백록담 턱밑까지 한라산 전역을 뒤덮고 있는 제주조릿대가 한라산 생태계 관리에 가장 민감한 이슈로 다시 떠올랐다. 한라산국립…
강시영 기자 ㅣ 2016. 02.16. 00:00:00
[한라포커스]조릿대 확산…한라산 생태계 보존·관리 시험대-(상)현장설명·토론회
도·산림과학원·청정자문단·시민단체 등 대거 참석"단기·중장기 대안 검토… 과학적 접근·공감대 필요"벌채·방목 등 장단점 분석… "심화 연구" 한 목소리 한라산의 생물종 다양성을 위협하고 있는 조릿대 확산을 계기로 한…
강시영 기자 ㅣ 2016. 02.15. 00:00:00
[제주의 자존, 한라산을 말하다]프롤로그
통일시대 거점·생태계 변화·국제보호지역 등 총 6부작백두산과 환경보전 공동협력 등 제주발 대북교류 진단각계 전문가 참여 특별취재팀 가동 제주의 가치 재평가 한라산은 누구나 안다고 한다그러나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
강시영 기자 ㅣ 2016. 01.01. 00:00:00
[백록담] 원희룡 지사의 한라산 탐방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기 이전에 논란과 우여곡절이 많았다. 자연유산지구의 대상지 선정을 놓고 여러차례 수정 변경됐다.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 가능성에 대한 학술·경관적 가…
강시영 기자 ㅣ 2015. 11.09. 00:00:00
[백록담] 세계유산본부 조직재설계 타당한가
세계자연유산,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지질공원, 람사르습지를 통틀어 국제보호지역이라 한다. 지구상에서 이 네개의 보호지역과 브랜드를 특정 공간에 모두 갖고 있는 곳은 제주가 유일하다. 2000만 관광시대를 견인할 수 있는 …
강시영 기자 ㅣ 2015. 08.31. 00:00:00
[백록담] 청정제주에 감염질환 감시센터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기 직전 제주를 여행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메르스 청정 지역인 제주가 홍역을 치르고 있다. 지난 13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141번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기 전인 지난 5…
강시영 기자 ㅣ 2015. 06.22. 00:00:00
[제주 곶자왈의 재발견, 세계인의 보물로](4)곶자왈 시험림의 비전
산림청·산림과학원, 사유곶자왈 매입 등 529ha 지정보전·지속가능한 활용기반 구축 핵심과제로 연구중생태·역사문화 인문자원·산림휴양서비스 등 총망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생물권보전지역, 람사르습지 …
강시영 기자 ㅣ 2015. 06.17. 00:00:00
[제주 곶자왈의 재발견, 세계인의 보물로](2)곶자왈 보전의 현안들
전문가 리포트최형순 박사(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주의 독특한 용암숲 곶자왈은 이제 제주를 대표하는 자연 중, 어느 정도 자리매김을 한 느낌을 받는다. 제주시에서 서귀포시로 넘어오는 시외버스의 운전…
강시영 기자 ㅣ 2015. 05.13. 00:00:00
[광복 70년·수교 50년 제주와 일본을 말하다]제3부. 야쿠시마를 가다(3) 체계적인 보전 관리
수백 년 동안 이어진 벌목은 야쿠시마 섬 전체에 생채기를 남겼다. 수천 년을 살아낸 숲도 인간의 필요에 의해 힘없이 쓰러졌다. 그 아픔을 딛고 일어선 야쿠시마는 이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말한다. 사람들은 삶의 터전을 …
강시영 기자 ㅣ 2015. 05.04. 00:00:00
[광복 70년·수교 50년 제주와 일본을 말하다]제3부. 야쿠시마를 가다(2)자연과 인간 공존하는 생태섬
사슴·원숭이·원시림이 공존하는 천혜의 숲수령 천년이 넘는 삼나무 '야쿠스기' 인상적제주와 비슷한 환경·한라산 식물분포도 유사곶자왈 용암숲·구상나무 군락은 제주 독보적 [전문가 리포트]문명옥 박사(제주대 기초과학…
강시영 기자 ㅣ 2015. 04.27. 00:00:00
[창간특집/제주 곶자왈의 재발견, 세계인의 보물로](1)프롤로그
산림과학원 '곶자왈 시험림' 용암숲 연구허브로 육성경계 설정·등급화는 현안중 현안… 쟁점 등 심층진단 한라일보는 제26주년 창간기획으로 곶자왈 연재를 시작한다. '제주 곶자왈의 재발견, 세계인의 보물로'란 주제로 제주…
강시영 기자 ㅣ 2015. 04.22. 00:00:00
[백록담]제주 왕벚, 자생지 논쟁을 넘어 세계로
한라산에서 왕벚을 비롯한 자생 벚꽃을 감상하기에 최적인 곳은 국립공원 관음사지구다. 요즘 관음사지구는 만개한 벚꽃 물결이 한창이다. 왕벚은 벚나무류 중에서도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나무다. 도심 왕벚나무가 한결같이…
강시영 기자 ㅣ 2015. 04.13. 00:00:00
[광복 70년·수교 50년 제주와 일본을 말하다/제1부 제주 왕벚의 세계화](4)어떻게 할 것인가
개최 장소·개화 시기로 축제 오락가락 정체성 흔들자생지 관리도 허점… 후속 천연기념물 지정 손놓아왕벚 등 벚나무류 10여종 분포 대규모 숲 조성 필요성 원산지인 제주에서 열리는 왕벚꽃축제는 매년 축제 장소와 개화 시…
강시영 기자 ㅣ 2015. 03.30. 00:00:00
[광복 70년·수교 50년 제주와 일본을 말하다/제1부 제주 왕벚의 세계화](3)대량생산 전초기지
조직배양·초단기 증식·접목기술 개발 특허 출원 등국립산림과학원이 주도… 제주 한라생태숲도 가세관음사 야영장 우량 왕벚나무에 접목 대량생산 체계 왕벚나무 증식은 일반적으로 조직배양과 접목 방식에 의해 이뤄진다. …
강시영 기자 ㅣ 2015. 03.23. 00:00:00
[광복 70년·수교 50년 제주와 일본을 말하다/제1부 제주 왕벚의 세계화](2)원산지 논란 종지부
1908년 타케신부 관음사 인근서 왕벚나무 세계최초 표본최근까지 100여그루 발견… 일본과 원산지 논란 종지부많은 개체수·다양한 수령·넓은 천연림·형질변이 폭도 커 우리나라 산림분야 씽크탱크인 국립산림과학원은 식물의…
강시영 기자 ㅣ 2015. 03.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