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청정 이미지 특화 중국 시장 뚫어야"

"제주 청정 이미지 특화 중국 시장 뚫어야"
[제주와 중국을 말하다]제2부 한류와 소비시장-①중국 한류 새로운 기회로
②소비시장과 마케팅 전략
  • 입력 : 2014. 07.21(월) 00:00
  • 진선희 기자 sunny@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특정 지역·계층 겨냥 현지화 전략 바람직
유기농·친환경 제품 인기 상승에 주목을


제주 청정자원의 이미지를 어떻게 제품에 담아낼까.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시장'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중국 소비자를 잡으려는 분주한 걸음 속에 제주지역은 '세계자연유산' 이미지를 활용한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획 5면

중국은 단일화된 시장이 아니라 서로 다른 국가나 다름없는 지역적 차별성을 지닌 곳이다. 이 때문에 중국 소비시장을 하나의 얼굴로 보고 판매 전략을 세울 경우 열에아홉 실패를 맛보게 된다.

지속적인 내수화 정책, 새로운 지도부의 도시화 추진에 따라 중국 소비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소비세대를 겨냥한 마케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태어난 이들을 지칭하는 빠링허우, 지우링허우 세대들이 빠른 소득 증가와 함께 독특한 소비 특성으로 중국 소비시장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8090허우 세대의 부상은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연결된다. 중국인 10명 중 5명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지난해 모바일 이용자수가 5억명을 넘어설 정도로 온라인 시장 환경이 커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가 내놓은 중국 소비 트렌드와 전망에선 2014년 모바일 결제 규모가 630억 달러에 이르고 이용자수는 3억8700만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소비세대와 더불어 2억~3억명으로 추산되는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맞춤형 전략 마련도 고심해야 한다. 제주는 특히 깨끗한 자연환경을 내세울 수 있는 지역인 만큼 유기농·친환경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중국 프리미엄 소비시장과 맞물려 특정 제품 생산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와관련 정지형 제주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경쟁이 치열한 중국 시장 진입에서 살아남으려면 품질 경쟁력만이 아니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며 "제품의 특성을 고려한 현지화 마케팅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0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