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세상]"지방소멸 근거 엉성… 재생의 희망 있다"

[책세상]"지방소멸 근거 엉성… 재생의 희망 있다"
오다기리 도쿠미의 '농촌은 사라지지 않는다'
  • 입력 : 2018. 05.11(금) 00:00
  • 진선희 기자 sunny@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인구 감소로 2040년 일본 기초자치단체 896곳이 소멸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다. 4년전의 일이다. 얼마 전에는 이중 80%에서 인구 감소가 빨라지고 있다는 분석 자료가 나왔다. '소멸가능성 도시' 문제가 제기된 이래 일본 정부와 지자체가 고용 창출과 육아 지원책을 펴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상황은 악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우려가 현실이 되는 것일까.

표제에서 짐작하듯, 일본 메이지대 오다기리 도쿠미 교수의 '농촌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그에 대해 '노'라고 답한다. 앞으로 사라질지 모르는 시정촌(市町村) 명단을 공개해 2014년 일본사회를 발칵 뒤집어놓은 '마스다 보고서'를 반박하며 농산촌 재생의 희망을 이야기하고 있다.

지은이는 2040년 20~39세의 여성인구를 추계해 그것이 현재의 절반 이하가 되면 '소멸 가능성 도시'로 정한 일을 '마스다 보고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왜 젊은 여성 인구가 절반으로 감소하면 '소멸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기 때문이다. 인구 만명 이하가 되면 '소멸 가능성'에서 '소멸'로 바뀌는 이유 역시 제시되지 않았고 귀농귀촌 경향은 과소평가됐다.

그는 일본 대다수의 농산어촌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2010년 농업 취락 수는 약 13만9000개였는데 1970년 14만3000개와 비교해 40년간 약 3%밖에 감소하지 않았다. 일본에서 발생한 급속한 사회경제적인 변모와 비교하면 변화의 폭이 그다지 크지 않다. 1980~90년대 거품경제하에서 이루어진 리조트 개발에 대한 반성으로 외래형 개발이 아닌 내발성·종합성·다양성의 측면에서 지역 만들기가 추진된 점도 고무적이다. 지역 만들기가 진행되는 곳으로 농산촌 이주도 활발하다.

직접 발로 뛰는 일본 농촌 연구의 권위자로 알려진 오다기리 교수는 '농촌 철수' 논의 한편에 그에 대항하듯 활발해져가는 전원 회귀의 현실이야말로 사회의 커다란 기로를 나타낸다고 본다. "성장 노선을 들어 '농촌 철수'를 진전시키며 글로벌화에 어울리는 '세계도시 도쿄'를 중심으로 한 사회를 형성할 것인가? 그렇지 않고 일본의 전략 지역인 농산촌을 저밀도 거주지역으로 만들고 재생을 꾀하며 국민의 전원 회귀를 촉진시키고 어떤 지역이라도 개성을 지닌 도시·농촌 공생사회를 구축할 것인가? 이러한 갈림길이 우리의 눈앞에 놓여 있다." 부혜진·정유경 옮김. 한울. 2만6000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16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