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급 학교의 개학이 온라인으로 시작됐다. 자가격리에 대한 통제도 혁신적으로 진행중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선확인, 전자팔찌, 어플을 활용한 관리 등.
'사피엔스'로 유명한 유발 하라리는 파이낸셜 타임지에서 코로나19의 이후에 대해 지적한 바 있다. 세상의 변화는 전체주의적 감시와 시민 권한 확대 그리고 국수주의적 고립과 글로벌 연대 사이에서 선택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너무나 당연한 가능성이기에 반론 보다는 우리의 선택은 이중 어디쯤에 해당할까하는 데 생각이 미친다. 다른 나라와 달리 코로나19로부터 이동제한, 지역봉쇄 등이 아닌 민주주의적 통제가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니 자유스러운 것인가. 달리 말하면 다른 나라보다 좀더 치밀한 관리의 메카니즘을 발달시켰다는 의미는 아닐까.
사실 세균의 습격은 일반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개별적 대응이 거의 불가능한 영역이다. 국가가 만들어놓은 체계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세균에 감염됐다는 사실 확인은 의학과 과학에 의해서만 가능해진다. 개인들은 질병에 걸리거나 병상에 누워 고통을 체험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는 사이 국가는 전국적인 통계를 만들어낸다. 이는 언론을 통해 공표되고 사회의 모든 분야는 국가의 지시를 따를 수 밖에 없다. 어쩌면 코로나19로 인해 우리는 앞으로 사회통제의 수준을 어디까지 용인할 것인가에 대해 테스트를 하고 있는 셈이다.
코로나19가 미증유의 경험인 것은 분명하다. 온 사회가 기능을 멈추고 이동이 제한될 거라는 생각은 솔직히 해보지 못했다. 각 국가간에 비행기를 띄우지 못하게 될 지도 몰랐다. 외부인들이 가져올 바이러스가 국내에 파급될 것을 우려해 이동과 국경을 폐쇄하는 일들이 일어날지도 몰랐다.
우리사회가 코로나19에 대해 적절하게 잘 대응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특히 각 국가들이 취한 극단적이고 봉쇄나 이동제한이 아니라 민주적 통제의 개념 안에서 사회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찬사를 보낼 일이다.
반대로 코로나19로 인해 개인에 대한 통제의 구실을 찾기에 좋은 시기가 됐다. 개인정보와 권리를 크게 문제삼지 않으면서 제약이 가능한 상황이다. 국민들에 대한 통제가 가능한 수준을 테스트 해보는 느낌마저 든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이유는 과학기술의 이름하에 내 생활의 일거수 일투족이 데이터화되어 기록되는 시스템이 있어서 가능한 일이다. 코로나19가 지나가더라도 예전의 생활로 돌아가기는 글렀다. 개인의 생활은 보이지 않는 위협에 대비해 좀더 자세히 기록될 것이고 데이터로 남을 것이다. 피상적인 의미의 개인정보 보호는 강화되겠지만 이제 개인은 사회체계로부터 숨을 곳이 없어졌다. 무게 추가 기울었다. 통제가 자율을 압도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는 우울한 미래상을 지울 수 없게 됐다. 하루 종일 컴퓨터로 뉴스를 보고 영화를 보고 생필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하면서 세상과 단절되었다고 느끼고 있지만 나의 모든 것은 더 자세히 기록되고 있다. 나도 모르는 내 자신을 누군가는 더 잘 알고 있는 셈이다. <이재근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