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경자의 하루를 시작하며] 제주의 시대가 왔다

[허경자의 하루를 시작하며] 제주의 시대가 왔다
  • 입력 : 2021. 03.10(수) 00:00
  • 이정오 기자 qwer6281@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주 산자부 장관이 제주에 왔다. 지역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기 위해서다. 정부의 2050탄소중립추진에 선행적 역할을 해온 제주도는 16%의 재생에너지비율에도 불구하고 출력제한으로 전기를 버려야하는 상황이 됐다. 행정에서 독려해온 태양광발전도 판매가 하락으로 지역사업자들이 경제적 고통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주의 분산에너지활성화대책 발표는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산학연관이 모두 나서 세부사안을 꼼꼼히 살피고 철저히 준비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분산에너지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수요지역 주변에서 재생에너지로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그동안 대규모 발전소 건립이나 송전선로 건설 등으로 발생됐던 지역민과의 갈등을 억제하고 대기오염의 주범 CO2를 줄일 수 있는 최적의 에너지 수급이다. 따라서 탄소없는 섬을 주창해온 제주도는 서둘러 전력수급체계를 정비해 분산에너지시스템을 구현해야만 한다. 피크를 낮추기 위해 전력사용을 억제하던 기존 DR(Demand response) 위주의 체계에서 벗어나 출력제한으로 버려지는 전기사용을 독려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새로운 DR의 범위 확대와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시간대별로 다양한 전력소비군을 확보해 운영하는데 그 초점을 둬야 할 것이다.

산자부는 제주와 육지를 연결했던 두 군데의 초고압직류송전(HVDC) 해저케이블에 역송전 기능을 구축해 잉여전력을 육지로 보낼 수 있게 하겠다고 한다. 2022년에는 양방향 전력송전이 가능한 제3연계선 준공으로 재생에너지 수용량을 400㎿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있다. 그러나 연계선이 구축되더라도 육지의 전력수요가 없으면 역송전은 실현될 수 없다. 또한 육지의 전력수요가 있더라도 제주에 낮은 가격대의 송전을 요구하게 된다면 그 실익에는 후속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역송전이 최고의 출력제한 해결이라는 기대는 매우 위험하며 도내 새로운 전력수요자원 발굴이 병행돼야만 한다.

전기차는 잠재력이 무한한 전력수급원이다. 잉여전력발생시 저렴한 가격으로 충전을 유도한다면 출력제한을 대신할 수도 있고, 기후변화로 재생에너지발전의 변동이 심할 때는 배터리에서 전기를 빼내 사용도 가능하다. 이미 실증을 마친 V2G충전기를 활용하거나 분산전원 충전시스템을 적용한다면 현재 제주에서 움직이는 2만여 대의 전기차량은 움직이는 발전소이면서 이미 비용없이 구축된 에너지저장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올해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제정안이 발의된다고 한다. 분산에너지 특구도 지정해 전력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직간접전력거래를 허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대규모 발전사가 석탄, 원자력 등으로 생산한 전기를 한전이 가지고 있던 송배전망을 통해 독점해왔던 전력사업이 제한적이긴 하나 재생에너지를 통해 지역의 소규모 발전사에도 분산되는 시대가 온 것이다. 그동안 스마트그리드실증에 앞장서온 탄소없는 섬 제주도, 분산에너지특구 1호로 우선 지정돼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허경자 제주EV협동조합 이사장>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03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