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째 송전선로 인허가 막바지 '생산 과잉' 숨통

3번째 송전선로 인허가 막바지 '생산 과잉' 숨통
제주변환소 최근 건축 허가·공유수면점사용 절차만 남아
가동 시 남아도는 도내 신재생에너지 육지부로 전송 가능
  • 입력 : 2021. 10.06(수) 14:17
  •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대규모 전력 송전선로. 한라일보DB

6년을 끌어온 제주-완도 #3HVDC 해저송전선로 건설사업(이하 제3해저송전선로 건설사업)이 마지막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제3해저송전선로는 제1·2해저송전선로와 달리 애초부터 제주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지로 보낼 수 있게 설계돼, 전력 생산 과잉으로 골머리를 앓는 제주지역의 전력난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6일 제주특별자치도와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 등에 따르면 이 사업은 3200억원 들여 제주와 완도 바닷 속에 90㎞에 이르는 해저송전선로(200㎿급)를 건설하는 것이다.

제3해저송전선로가 가동되면 제주도가 육지에서 공급 받는 전력 규모는 최대 550㎿까지 늘어난다. 제주도가 이미 운용하고 제1·2해저송전선로의 전력 용량은 각각 150㎿와 200㎿다.

제3해저송전선로 건설사업은 크게 세갈래로 나뉜다. 한전은 고압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또 교류 전력을 다시 직류 전력으로 바꾸는 변환소를 제주시 삼양동과 완도군에 각각 짓고, 두 지역 해저에 전력이 오가는 90㎞짜리 케이블을 깐다.

이 사업은 정부의 제7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지난 2016년부터 추진됐지만 완도 주민들 반대에 부딪혀 그동안 난항을 겪어왔다. 그러다 지난해 완도군 내 최초 후보 마을이 아닌 다른 마을이 변환소 유치에 동의하면서 물꼬가 트였다.

제주시 삼양동 변환소(#3 HVDC 동제주변환소)는 지난달 건축 허가가 이뤄져 착공을 앞두고 있다. #3 HVDC 동제주변환소는 제주시 삼양동 일원 4만8000여㎡ 부지에 지어질 예정이다. 완도변환소 건설사업은 현재 토지 보상 절차가 진행 중으로, 이미 마을 주민들이 유치에 동의한만큼 조만간 건축 허가가 이뤄질 것이라고 한전 측은 밝혔다.

해저케이블 건설도 마지막 절차를 밟고 있다. 한전 측은 해저케이블을 까는데 필요한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를 지난 7월 제주시에 신청했다. 한전 측은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만 끝나면 모든 인허가 절차가 마무리된다고 설명했다.

제3해저 송전선로가 생기면 제주지역에 남아도는 신재생에너지를 육지에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제주지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이 수요보다 많아 발전기를 강제 중단하는 출력제한이 반복되고 있다. 전력이 과잉 공급되면 전력계통에 과부화가 걸려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제1·2 송전선로는 육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제주로 보내는 용도로만 쓰였지만 제3해저송전선로는 애초부터 양뱡향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도 관계자는 "올해 4월 신기술을 접목해 제1송전선로로 제주지역 전력을 육지로 보내는 역전송을 처음 성공했지만 (역전송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애초부터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제3해저송전선로가 더 우수하다"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84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