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 분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와 함께 실제 산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인력과 기업 등을 유치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6일 한라컨벤션센터 A홀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분위기를 조성하고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선점하기 위한 도민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공유의 자리로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통해 민·관·학·연의 지속적인 협업체계 마련이 전제돼야 한다는 전문가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신산업 협의회 민간부문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희집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는 '제주 에너지 전환을 통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기조발제에 나서 "분산에너지 활성화법, 풍력촉진법 등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선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제주도는 반드시 일자리 창출과 산업 유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교수는 이어 "제주도는 여름철 피크 전력이 매년 2.9%이상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단기적으로는 소규모 전력중개거래·가상발전소(VPP)와 100%재생에너지 전력 사용을 약속한 기업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를 공급하는 RE100사업 등과 함께 재생에너지 간헐성에 대비해 순간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유연성 자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또 "전력산업의 큰 변화가 제주도에서 실증만 하고 가는 것이 아니라 선구적으로 파일럿으로 일어나게끔 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제주도는 전력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시키는 일자리데이터센터와 플랫폼을 갖춰 일자리가 창출되고 실제 산업이 생길 수 있도록 인력과 기업들을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은 '분산에너지 특구가 제주 에너지 체계에서 미치는 영향'이라는 기조강연에서 "제주도는 풍력, 태양광이 포화상태로 대용량저장장치나 전력시장가격, 계시별 요금제를 통해 전력 수요를 유도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제주에서는 재생에너지와 수요자원을 결합한 VPP, 전기차 충전기를 집합자원으로 하는 V2G, 태양광 발전력을 활용한 P2H, 잉여전력을 활용한 그린수소생산시설 P2G 등이 실증되거나 실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해 지난해 4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 수립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전국 최초로 저탄소 중앙계약시장을 시범 도입하고 단기 필요물량인 65메가와트(260㎿/h)급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비하고,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실시간·예비력 시장과 재생에너지 입찰 제도 등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안을 도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