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코 쌓은 돌탑 금오름 양서류 서식지 훼손… 대책 마련하라"

"무심코 쌓은 돌탑 금오름 양서류 서식지 훼손… 대책 마련하라"
제주환경운동연합 오름 양서류 보전 관리 점검 촉구 논평
  • 입력 : 2023. 03.31(금) 12:41  수정 : 2023. 04. 02(일) 12:59
  • 김도영기자 doyou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금오름 정상부의 돌탑. 제주환경운동연합 제공

[한라일보] 관광 명소로 알려진 금오름 정상부에 쌓은 돌탑이 양서류의 서식지를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31일 논평을 발표하고 "제주도는 금오름 분화구 내 습지에 서식하는 양서류 보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금오름은 산정상부 52m가량 깊이의 분화구가 형성된 화산체로 '금악담'이라 불리는 화구호 습지를 지닌 오름"이라며 "금오름은 우마를 방목했던 곳으로 유기물이 풍부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맹꽁이를 비롯해 제주도롱뇽, 큰산개구리 등 다양한 양서류가 서식하고 있고 최근 조사에서 맹꽁이 330여 개체와 10만여 개의 맹꽁이 알이 확인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몇 년 사이 금오름이 각종 매체에 소개되고 사진 명소로 주목받게 되면서 탐방객 증가에 따른 오름 훼손 문제가 심각한 상황으로 특히 탐방객들이 금오름 정상 분화구의 습지 주변에 무심코 쌓은 돌탑으로 인해 양서류의 서식지가 훼손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피부 호흡을 해야 하는 양서류는 피부가 항상 촉촉해야 공기 중의 산소가 녹아 체내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물과 가까운 곳이나 숲이 우거진 곳에 살지만 금오름 분화구 내부에는 그늘이라 할 수 있는 식생이 없어 화산송이가 양서류의 유일한 그늘막이 된다"며 "탐방객들이 습지 주변에 널려있는 돌들을 주워 무심코 쌓은 돌탑이 양서류의 서식지를 훼손하고 있는 상황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그동안 금오름 훼손 문제가 지적되었지만 제주도는 사유지라는 이유로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해 왔다"며 "제주도는 오름 분화구 내 습지 주변에 만들어진 화산송이탑을 원상 복구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내표지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금오름 분화구 습지의 보전방안을 수립·시행과 함께 유사 사례는 없는지 도내 오름의 이용 및 보전관리 실태점검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금오름 분화구 내 큰산개구리와 제주도롱뇽. 제주환경운동연합 제공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00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