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진 안전지대 아닌데 단층조사 2037년에나..

제주 지진 안전지대 아닌데 단층조사 2037년에나..
제주권, 기상청 '한반도 지하 단층조사 연구사업'서 후순위
도, 연구용역 거쳐 지난해 정부 건의.. 기재부 선에서 막혀
  • 입력 : 2023. 04.13(목) 16:07  수정 : 2023. 04. 14(금) 12:21
  • 강다혜 기자 dh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제주도가 정부 차원에서 시행하는 권역별 지하단층조사 연구에서 제주권에 대한 연구시기를 앞당겨 시행해 달라며 근거를 마련해 지난해 정부에 건의했지만, 기재부 차원에서 미반영된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권 지하 단층조사 연구사업 조기 추진을 위한 기획연구 용역 보고서'를 최근 공개했다. 용역은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지난해 3월부터 6월까지 수행했다.

현재 기상청이 수행 중인 '한반도 지하 단층조사 연구사업'(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에서 제주권에 대한 연구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시행됐다. 지난 2021년 서귀포 해역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한 뒤 제주도가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게 됐다는 진단이 나왔다.

문제는 사업기간이 오는 2041년까지 잡혀있어 제주권의 경우 사업의 마지막 단계인 2037년에야 연구가 가능하게 됐다는 점이다. 총 5단계로 분류된 해당 사업은 1단계 2021년까지 수도권과 영남권, 2단계 2026년까지 강원권, 3단계 2031년까지 충청권, 4단계 2036년까지 전라권을 대상으로 수행되고, 제주권은 5단계로 2037년부터 2041년까지다.

이에 제주도는 제주지역의 지진 영향을 파악하고 위험도 예측을 위해 제주권에 대한 기상청 단층 조사 연구사업이 조기 추진될 수 있도록 학술적 근거를 확보했다.

그러나 지난해 제주도가 연구 시기를 앞당겨 달라는 내용을 담아 건의한 결과 기획재정부의 문턱을 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보고서에 제시된 지진 방재 관련 인프라와 지진 발생 현황을 보면, 현재 도내에 기상청 상시 지진관측소 8개소가 있지만 육상 관측에 특화되어 있어 제주도 인근 해역에서 발생하는 해저 지진 연구에 부적합하다고 연구진은 진단했다.

연구진은 제주권 조기 단층조사 사업의 시급성에 대한 근거로 우선 제주도 주변에 '단층대'가 발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추정을 제시했다. 또 북서 태평양 지역에 맞물려 있는 지판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제주도 지하 심부의 구조대가 재활성화되며 최근 제주도 주변에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제주에 해저지진을 효율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관측망이 부족하다는 점도 내놨다.

또 제주에 지난 2015년부터 지진관측소가 증설된 이후 지진 발생 빈도가 연간 20회 이하에서 40회 이상으로 증가한 점을 들어, 그간 제주권의 지진위험도가 과소 평가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아울러 제주권 주요 지진의 진앙 위치는 대부분 해안에서 80km 이내로서 충청권 및 전라권 해역지진에 비해 육상과 더 근접하여 밀집 분포하고 있다는 점을 들며 제주권 단층조사 사업이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연구 기간이 2036년으로 예정된 만큼 단계를 앞당기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15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