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주 농가 인구 7만명 선 붕괴... 고령화 심화

지난해 제주 농가 인구 7만명 선 붕괴... 고령화 심화
통계청 '2024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발표
농가 2만9125가구...60대 이상 70% 차지
전년대비 어가, 어업인구도 감소
  • 입력 : 2025. 04.17(목) 17:30  수정 : 2025. 04. 19(토) 09:58
  • 오은지기자 ejoh@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지역 마늘 수확 현장. 한라일보DB

[한라일보] 지난해 기준 제주지역 농·어가와 인구가 동반 감소했다.

특히 농가 인구는 6만명 선까지 줄어들었고, 고령화 추세는 이어졌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같은 해 12월 1일 기준 제주도 농가는 전년 대비 약 4.1% 줄어든 2만9125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도내 농가 인구는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 전업(轉業) 등으로 매년 주는 추세다.

2010년 11만 명 선(11만4539명)에서 2014년 10만 명 선(10만9510명), 2015년 9만 명 선(9만3404명), 2016년 8만 명 선(8만8385명)으로 줄어들었고, 2020년 7만9797명으로 8만명 선이 붕괴된데 이어 4년간 7만 명 선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6만 명 선(6만8696명)까지 감소했다.

경영주 연령별 농가를 보면 70세 이상이 1만1894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8372가구), 50대(6689가구) 순이었다. 60세 이상 농가는 2만266가구로 전체의 69.6%를 차지했다.

농축산물 판매금액별로는 '120만~1000만 미만'이 9886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00만~3000만원 미만'(8521가구), '3000만~5000만원 미만'(3901가구), '1억원 이상'(2224가구) 등의 순이었다.

경지규모별로 보면 '0.5ha 미만'이 1만1747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0.5~1.0ha 미만'(8856가구), '1.2~2.0ha 미만'(4758가구) 등의 순이었다. '5.0ha 이상'은 831가구였고, '경지 없는 농가'는 316가구였다.

제주 농가인구 중 65세 이상은 2만7473명으로, 전체의 약 40%를 차지했다. 2023년 65세 이상 고령 농가 인구 비율은 37.7%, 2022년은 34.8%, 2021년은 33%였다.

제주 어가와 어구 인구도 최근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어가는 2599가구(양식업 157, 어로어업 2442), 어가인구는 5498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5.5%, 2.5% 줄었다.

65세 이상 어가인구는 2897명으로 전체의 52.7%를 차지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96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