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으로의 복귀(중심이 바로 선 사회로 복귀)
2022-09-29 14:47
고경희 (Homepage : http://)
기고(노인장수복지과-고경희).hwp ( size : 140.00 KB / download : 2 )
일상으로의 복귀(중심이 바로 선 사회로 복귀)


제주도청 노인장수복지과 고경희


벌서 3년 전 일이다. 대구시 종교시설에서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 환자가 처음 발생하고 집단감염과 사망자가 생기며 우리를 공포 속으로 빠져 들게 했던 일이 벌써 3년이 지났다.
우린 한때 ‘마스크’를 쓰는 것이 생명줄을 지키는 것 인양 우리 모두 마스크를 구입하려고 발버둥을 치기도 했다. ‘거리두기’라는 단어가 사회를 지배했고, 우리는 ‘거리두기’ 속에서 서로 점점 멀어져 갔다

3년이 지난 지금, 수 많은 시행 착오를 거쳐 우리는 어느 정도 면역력이 생기고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됐다. 얼마나 갈망했던 일상이었던가..... 간절하게 원했던 일상이었기에 ‘거리두기’가 어느 정도 완화되자 모두들 신이 나서 아우성들인 거 같다. 그동안 야외 행사가 중단되었기에, 올해, 3년만에 치러지는 노인의 날 행사는 어르신들의 기대가 더욱 큰 것 같다.
3년 만에 치르는 노인의 날 행사에 어르신들이 기뻐하고 들떠 있는 걸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을 정도다. 어르신들이 어릴 적 운동회를 기다리는 마음으로 행사를 기다리고 있는 거 같다.

‘노인(老人)’이란 나이가 많은 사람을 일컫지만 성경에는 오래 산 늙은이를 가리킬 뿐 아니라 장로나 지도자 등을 뜻하기도 한다. 성경에서는, 노인이 되는 것을 일종의 복으로 간주했고, 자식으로서 부모에게 순종한 상급으로 노인의 반열에 설 수 있음을 가르치고 있으며, 노인에 대해 존경할 것을 명하고 있다

또한, 노인을 존대했던 한문 문화권에서도 노인에 대한 호칭은 긍정적이었다. 공자는 50세를 하늘의 뜻을 아는 나이라 하여 '지명'(知命), 60세를 모든 것을 순리대로 이해하게 된다 하여 '이순'(耳順), 70세를 욕심에 기울지 않고 어떤 언행도 궤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하여 '종심'(從心)이라 했다.

요즘의 노인들은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으로 진입하면서 젊고 활동적인 노인층이 생겼다. 활동적인 시니어들은 은퇴 이후에도 소비생활과 여가생활을 즐기며 사회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그리고 활동적인 시니어들의 생활방식은 자신의 가치관을 소중히 여기고, 흥미 있는 일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다.

현대 노인상인 ‘활동적인 시니어’들이 인정 받으려면 젊은 사람들을 이해하고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기 전에 사회 어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하며, 젊은이들은 삶의 선배로서의 그들이 갖고 있는 삶의 지혜를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는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서로를 존중할 때에만 가능한 일이다.

누군가가 말하기를 ‘얼’은 정신에서 중심이 되는 부분이고, ‘굴’은 구멍, 통로를 의미한다고 했다. 그래서 ‘얼굴’은 얼이 들어오고 나가는 굴이다. ‘어린이’는 얼이 이른 사람, ‘어른’은 얼이 큰 사람, ‘어르신’은 얼이 커서 신이 되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얼이 큰 사람인 ‘어른’을 공경하고, 어른들은 어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한다면 서로 자기 말만 맞다고 소리치며 싸우는 세상이 아닌, 서로 이해하는 평화로운 세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오늘도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음을 감사하며, 신해철님의 일상으로의 초대를 흥얼거려본다. 너와 같이 함께라면 모든게 새로울거야. 매일 똑같은 일상이지만 너와 같이 함께라면 모든게 달라질거야.....




No 제목 이름 날짜
3230 현대인의 지친 마음에 밴드를 붙여주는 청년마음건강 바우처를 아직도 모…  ×1 최은정 10-03
3229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소방출동로 확보  ×1 노형119센터 김성철 10-01
3228 벼랑 끝에 선 남방 큰 돌고래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희진 10-01
3227 탄소제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업사이클링'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현진 09-29
> 일상으로의 복귀(중심이 바로 선 사회로 복귀)  ×1 고경희 09-29
3225 제주 물 부족, 모두의 실천으로 극복해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원고운 09-29
3224 제주특별자치도장애인태권도 협회, 사랑의 나눔과 봉사  ×1 김기완 09-26
3223 한림읍, 제34회 한림읍민 종합체육대회 성황리 개최  ×1 한림읍체육회 09-26
3222 멸종 위기에 놓인 제주 남방 큰 돌고래를 보호해주세요.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희진 09-25
3221 생활 속 쓰레기 줄이는 움직임-제로 웨이스트.(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현민희 09-22
3220 테스트 성현수 09-20
3219 [제주어 시] 웨하르방  ×1 현상길 09-19
3218 제주시 지원 아동의 놀 권리 회복 및 아동의 건강한 성장 도모를 위한 아동 …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9-15
3217 제12회 산지천축제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 윤봉실 09-15
3216 제12회 산지천 축제'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 윤봉실 09-15
3215 오염되어가는 제주 바다, 더 이상 지켜보기만 하면 안됩니다.  ×2 원재인 09-14
3214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주)영주E&I 서부지역 아동 25가정에 함께 나누는 맛있…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9-13
3213 남원119센터, 추석 연휴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집중 홍보 캠페인 실시  ×1 남원119센터 오성룡 09-09
3212 일상을 축제로, 평생학습 동아리 경연대회! 참가팀 모집  ×1 ×1 평생교육팀장 문원영 09-08
321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을 위한 이미용서비스 진행  ×2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9-07
3210 제주 자치경찰 기마대의 역할  ×1 제주자치경찰단 기마대 강우성순경 09-06
3209 아라종합사회복지관, ‘사랑의 열매’ 외도동 고독사 예방을 위한 사회적 …  ×2 강도욱 09-05
3208 4-H운동으로 여성리더를 양성해 나간다  ×1 (사)서귀포시4-H본부 여성부회장 고 09-05
3207 힌남노를 피할 수 없지만, 대비할 수는 있다 김명근 09-05
3206 제주올레길 놀멍 쉬멍 고치가게 마씸  ×1 고상선 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