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본각(本覺)
2022-08-05 19:35
|
|
---|---|
박규택(華谷).孝菴 公認 大法師 (Homepage : https://cafe.naver.com@parkgt1459)
|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한역은 진제(眞諦, Pramārtha, 499∼569)가 553년에 번역한 1권본과 실차난타(實叉難陀, 652∼710)가 695∼704년간에 번역한 2권본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경(金剛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 등과 함께 불교전문강원의 사교과(四敎科) 과목으로 예로부터 학습되어 왔던 논서(論書)이다. 저자 마명(馬鳴)은 생존연대가 불확실하고, 그의 다른 저술의 성격과 비교할 때 이 논은 현격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 만들어진 일종의 위작(僞作)이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이 논은 불교문학상으로 볼 때 최대 걸작 중 하나이며, 그 구성의 치밀성과 정확하고 간결한 문체, 독창적인 철학체계는 모든 불교학자들의 찬탄과 함께 뛰어난 명작으로 평가받아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그 연구가 활발하였다. 원전인 산스크리트 원본은 발견되지 않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진제(眞諦)의 한역본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여기서는 첨부파일과 같이 『대승기신론』에서 본각(本覺)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43] 3부 오름-(2)아직도 살아있는 …
제주산 하우스온주 좋은 값 이어질까
"꿈의 직장도 옛말".. '줄퇴사' 젊은 공무원 잡기 안간힘
'벌써 장마?' 제주지방 이번 주 내내 비 날씨 '오락가락'
[종합] 비상구 열린 항공기 탑승 제주선수단 뱃길 귀가 증가
"제주도, 광역지방정부 구상"… 지방분권 선도모델로?
[소년체전] 이예주 유종의 미… 곽유주 화려한 데뷔
[종합] 문 열린 채 착륙 '아찔'… 재발 방지책 나올까
"글로컬대학 반드시 유치"… 제주대도 '사활'
제주시 노형동~안덕면 '제안로' 마지막 구간 개설 본격화
예술의 몸짓으로 마주하는 평화·인권의 가치
[영상] 2023 수월봉 지질트레일 고산리 해녀들의 …
제주 4·3 수형인 41명 추가 무죄 판결
김인창 제주해경청장 치안감 승진
골목형 상점가 지정 조례 제주시 '유명무실'
'영국 축구팀 인수' 배우 김수로, 구단주 사임… …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5월 30일 제주 뉴스
[영상] 2023학년도 제주 교육청뉴스 5월5주차
제주대학교 여자축구 '제대로' 파죽의 4연승
전국소년체전 수영 경영 메달 "의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