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내기들의 현장리포트]착한가게 타이틀을 자진반납한 사연은?

[새내기들의 현장리포트]착한가게 타이틀을 자진반납한 사연은?
착한가격에 우는 착한가게
  • 입력 : 2014. 05.02(금) 00:00
  • 박소정 기자 skypark9@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2011년부터 전국적으로 착한가격업소 인증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홍보·인센티브 부족 등으로 효과는 적어 타이틀을 자진 반납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박소정 수습기자

최근 3년새 착한가게 간판 뗀 업소 23곳 달해
대부분 외식업종 식재료·인건비 등 인상 압박
홍보·인센티브 부족 탓… "자구노력도 있어야"

서귀포시 소재 A고깃집. 착한가격업소(착한가게)였던 이 식당은 목살 1인분(300g) 가격을 1만5000원에서 1만8000원으로 올렸다가 착한가게 재지정 과정에서 탈락했다. 제주시 노형동에 위치한 B고깃집은 아예 '착한가격업소' 타이틀을 자진 반납했다.

이유는 물가부담 때문이다. B식당 업주 김모씨는 "식재료값 인상 등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착한가격을 유지해 나가는데 부담이 됐다"며 "착한가격으로 팔아서는 운영하기가 어려웠고 지정에 따른 인센티브도 적어 어쩔 수 없이 착한가격업소 인증을 포기했다"고 토로했다.

도내 착한가격업소들이 물가상승 부담 등을 이기지 못해 지정을 자진 취소하거나 가격을 올렸다 탈락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착한가격업소는 재료비 등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도 저렴한 가격으로 물가안정에 기여해 온 업소로 2011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선정기준은 가격, 품질, 친절도, 위생 등이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격이다. 업소에서 제공하는 가격이 지역의 평균 가격보다 싸야 한다는 것.

문제는 도내 착한가격업소 대부분이 식재료값 인상, 인건비 등으로 운영에 압박을 받는 외식업종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특정업종에 집중되다보니 가격에 압박을 받은 업소들이 궁여지책으로 가격을 올렸다가 지정이 취소되거나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해 폐업하고 있는 것이다.

1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4월말 현재 제주지역 착한가격업소는 총 122곳으로 이 가운데 외식업소가 88곳(72.1%·한식 80곳, 중식 7곳, 양식 1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미용업 26곳, 세탁업 6곳, 목욕업 2곳 순이다.

이 중 2011년부터 지금까지 착한가격업소에서 탈락하거나 자진 반납한 업소는 모두 23곳에 이른다. 이 중 가격 인상으로 탈락한 업소가 9곳으로 가장 많았고 폐업 7곳, 행정처분 3곳, 위생기준 미달 2곳, 자진 취소 1곳, 메뉴변경 1곳 순이다.

이들 업소 관계자들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는 인센티브가 저렴한 가격을 유지할 만큼 매력이 없고 매출증대 등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입을 모았다. 제주시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이모(65)씨는 "쓰레기봉투를 지원받고 있는데 다른 지역의 경우는 상·하수도료 감면 혜택도 받고 있다고 들었다"며 "지정된 후에 손님도 따로 늘지 않아 수지타산을 맞추기엔 너무 힘들고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또 지정만 해놓고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윤정 착한가격업소 전국연합회 제주대표는 "착한가격업소 지정이 3년째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홍보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면서도 "물론 지자체의 지원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착한가격업소'라는 자부심을 갖고 업소 스스로의 자구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홈페이지와 책자 발간 등을 통해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착한가격업소를 많이 찾도록 더욱 홍보를 강화하겠다"며 "하반기에 상하수도 감면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46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