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일 우리 정부의 사드배치에 대한 항의로 중국정부가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국관광 금지 조치를 내렸다. 일주일이 채 지나지 않았는데 필자는 제주를 방문할 예정이었던 중국발 크루즈선 입항이 대거 취소되었다는 소식을 접해 들었다. 국가간 외교적, 군사적 문제에서 비롯된 사안이지만, 관광산업의 비중 큰 제주도로서는 직격탄을 맞았으며,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 격'이 되었다.
최근 제주에는 중국인 관광객이 급격히 증가했으며, 연간 300만명이 넘는 중국인이 제주를 방문하면서 전례없는 외래관광객 호황을 누려 왔다. 이로 인해 외국인 관광수입이 증가하는 한편 도민 삶의 불편이 동반되면서,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도민들의 피로감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여왔다. 그리고, 중국인 방문이 제주관광 발전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정서마저 형성되었다. 혹자는 이렇게도 말한다. 이번 사태가 외교 사안인 만큼 지자체 차원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으니, 차라리 이번 일을 계기로 중국인 관광객 감소추이를 관망하면서 '제주관광을 질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자'고.
일견 일리도 있다. 그러나, 필자는 중국의 한국관광금지 조치가 제주관광에 가져올 파장이 예사롭지 않다고 본다. 한번 떠나 버린 관광객의 발길을 돌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불과 몇 년전만 해도 일본인 관광객은 제주의 주요 관광시장이었다. 그러나 2017년 현재 일본시장은 붕괴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일본인 통역가이드를 비롯해 여행업 등 그간 우리 관광업계가 축적해 온 서비스 및 마케팅 노하우가 송두리째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는 상황을 눈앞에 접하고 있다. 제주를 외면하기 시작한 일본인 관광객을 과거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적, 재정적, 인적 자원 투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다소 과장된 예라고 할 수 도 있겠으나,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국시장도 유사한 양상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이미 제주를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추이를 보면 크루즈관광객을 제외하고는 감소 추세이다. 2014년 약 230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중국인 관광객은 2015년 메르스사태로 대폭 감소했으며, 지난해 기존 추이를 회복하지 못하고 약 190만명에 그치고 있다.
제주경제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상으로 절대적이고, 외국인 관광객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더 이상 제주를 찾지 않는다면 제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인 투자 유치 분야까지 고려한다면 부동산 및 건설 경기 등 도내 경제 전반에 걸쳐 끼치게 될 악영향 또한 간과해서는 안된다.
사안의 중대성을 인식한 도정에서도 긴급 대책회의를 여는 등 신속한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안이 국가적인 사안에서 비롯된 만큼 중앙정부와의 공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중앙정부가 제주도가 처한 상황을 재난상황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하면 국가에서 해당지역을 재해지역으로 선포하여 특별지원을 하듯, 중국인의 갑작스런 한국방문 금지를 제주경제를 뒤흔드는 악재로 인식하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지원 대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설득작업에 나서야 할 것이다.
과거 IMF의 경제위기를 극복했듯이, 도민 모두가 하나가 되어 외부로부터 촉발된 이번 관광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김의근 제주국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