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주인의 건강보고서 Ⅶ 건강캘린더](10) 결핵 예방의 날… 잠복결핵감염

[제주, 제주인의 건강보고서 Ⅶ 건강캘린더](10) 결핵 예방의 날… 잠복결핵감염
환자중심 치료 한계… 정부차원 예방책 마련
  • 입력 : 2017. 03.24(금) 00:00
  • 조상윤 기자 sych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결핵 예방의 날 포스터와 기침예절 포스터.

침투 결핵균 활성화로 각종 장기에 질병
폐에 가장 많이 발병 '폐결핵'으로 불려
잠복결핵감염자 대상 적극적 치료 권고


# 결핵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0만명 이상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해마다 3000명 이상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약 2300명의 소중한 생명을 결핵으로 잃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는 2016년 3월 24일 결핵안심국가 실행 계획을 발표했고, 관련 제도를 개선해 왔다. 3월 24일 '제7회 결핵 예방의 날'을 맞아 결핵 중 잠복결핵감염에 대해 제주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이종후 교수의 도움으로 상세히 알아본다.

'세계결핵의 날'은 1883년 3월 24일 독일의 세균학자 로베르트 코흐가 결핵균을 발견한 지 100주년이 되던 해인 1982년 결핵 예방 및 조기 발견을 위해 제정됐다. 매년 3월 24일 국제항결핵 및 폐질환연맹(IUATLD)에 가입한 국가를 중심으로 세계 결핵의 날 기념행사가 개최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대한결핵협회 주관으로 1982년부터 2010년까지 자체적으로 기념행사를 실시해 오다가 2011년부터는 정부 차원에서 '결핵 예방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결핵은 공기 감염을 통해 침투한 결핵균이 우리 몸의 면역력이 저하되는 순간 활성화돼 각종 장기에 질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결핵균이 침범된 우리 몸 어느 곳에서도 결핵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결핵균은 산소 친화력을 갖고 있어, 폐에 가장 많은 발병을 하게 된다. 때문에 결핵은 일반적으로 폐결핵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여러 전염성 질환 중에서도 결핵은 감염과 발병을 구별해 이해해야 한다. 폐결핵의 감염은 폐결핵 환자가 기침했을 때 분출하는 작은 비말 속에 있는 결핵균이 다른 사람에게 흡입될 때 일어난다. 결핵균에 노출되면 약 절반의 사람에게서 감염이 일어난다. 이들 중에서 감염 후 5%의 환자는 바로 결핵이 발병할 수 있는데, 결핵균에 대해 저항력이 약한 사람에게서 일어난다. 그리고 약 5%의 사람에서는 감염 이후에 상당한 세월이 지나 발병하게 된다. 결핵균을 억제하고 있던 사람의 저항력이 약해질 때 휴면상태에 있던 균이 활동을 재개해 발병하는 것이다. 성인에서 발병하는 대부분의 폐결핵은 이러한 2차성 결핵이다. 나머지 감염자의 약 90%는 평생 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감염은 됐지만 결핵이 발병되지 않는 상태를 잠복결핵감염이라고 한다.

잠복결핵감염은 결핵 환자와는 구분하게 되는데, 몸 안에 결핵균은 존재하지만 면역기전에 의해서 억제돼 있는 비활성화 상태로 있기 때문에 몸 안에서는 어떠한 문제도 유발하지 않는다. 즉 결핵균에 감염돼 체내에 소수의 살아있는 균이 존재하지만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는다. 증상이 없고, 가래검사에서 결핵균이 발견되지 않으며, 흉부 X선 검사에서도 정상으로 나타난다. 체내에 남아 있는 소수의 균을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차선책으로 결핵균의 항원에 대한 면역학적 반응으로 진단하게 된다. 검사는 결핵 피부반응검사나 혈액 검사를 통한 인터페론감마분비검사로 시행한다.

2015년 5월에 있었던 메르스 사태는 온 국민을 불안하게 만들었고, 이후 전염성 질환의 관심도 크게 높아졌다. 결핵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많은 사람의 생명을 빼앗은 가장 대표적인 전염성 질환이다. 우리나라는 소득수준이 비슷한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결핵 환자의 발병율이 높아, 이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여러 해 전부터 시행해오고 있다. 그러나 결핵 환자 중심의 치료로는 발병율이 줄어들고 있지 않고 있어, 결핵 환자의 잠재적 위험 요소인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를 통해 근본적인 결핵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병역판정대상 검사자에 대한 잠복결핵감염 검사가 시작됐고, 의료기관이나 어린이집 등의 집단 생활 종사자와 만 40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대상자 등 약 180만명에 대해서도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잠복결핵감염 검사는 ▷전염성 결핵 환자의 접촉자 ▷결핵 발병의 위험이 높은 군 ▷결핵균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의료인 등에서 시행하게 된다. 검사를 통해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된 사람들의 경우 최근에는 예전보다는 더욱 적극적으로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치료는 약제의 선택에 따라 3개월에서 9개월 가량 치료제를 복용하게 된다.

성인들을 중심으로 학창시절 한 번쯤 크리스마스 실을 구입한 적이 있을 것이다. 크리스마스 실은 결핵퇴치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크리스마스마다 발행, 판매되는 봉인표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예전보다 판매량이 많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핵은 예전의 병이라고 생각하고, 최근에는 없어진 병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안타깝지만 결핵은 여전히 현재의 병이고, 많은 사람들이 결핵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전문의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이종후 교수는 "크리스마스 실이 필요가 없어지는 날이 오기를 기원해본다. 그리고 기침 예절은 결핵 뿐만 아니라 각종 전염성 질환의 전파를 막기위해 가장 손쉽고 중요한 예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제주대학교병원·한라일보 공동기획>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88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