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25시]합종연횡이 국민적 여망이라니

[편집국25시]합종연횡이 국민적 여망이라니
  • 입력 : 2017. 05.04(목) 00:00
  • 이상민 기자 has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바른정당 국회의원 13명(황영철 의원 철회)이 탈당하고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친북좌파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는 보수가 대동단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유승민 후보가 단일화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책임을 유 후보에게 돌렸다. 선거 때마다 합종연횡(合從連衡)은 반복됐다. 2010년 지방선거 때 야 4당은 서울시장 후보 등을 단일화했다. 2014년 지방선거를 앞둔 그해 3월엔 민주당과 창당 준비단계에 있던 새정치연합이 통합해 신당을 만들었다. 형식적으론 신당 창당이지만 내용적으로 봤을 땐 합당이었다. 단일화, 합당 등 그 방식에 있어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이념·정강이 전혀 다른 정당과 의원끼리 합종연횡하는 모습을 선거철마다 봤다.

선거정국에서 합종연횡을 부정하는 것은 순진한 발상이라고 타박하는 이도 있다. 선거의 최대 목표가 승리이고, 정권창출인데 '대의'를 위해선 연합도 필요하다는 주장과 국민적 동의가 있으면 정당끼리 뭉칠 수 있다는 시각이 있다. 13대 대선 때가 그랬다. 민주정권 탄생을 바라는 국민적 염원 속에도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은 단일화에 실패해 군사정권 연장이란 결과를 낳았다. 두 전 대통령은 단일화 실패를 두고두고 후회했다. 그럼에도 합종연횡은 최선의 선택이 아니다. 자신만의 정치적 지향성과 정강을 지닌 순수정당에 의한 정권창출이 정당정치의 기본이다. 없는 살림에 당비를 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촛불민심으로 만들어 낸 19대 대선에서 우리는 또 다시 합종연횡을 지켜봤다. 바른정당 탈당 의원들은 보수 대통합을 바라는 국민적 여망을 외면할 수 없다고 했지만 오히려 대다수 국민에게 비난받고 있다. '국민적 여망'의 근거도 부족했다는 뜻이다. 이념과 지향점이 다른데도 정권창출 때문에 정당정치를 저버린 만큼 목표에 실패했을 땐 응분의 책임도 져야할 것이다. 당 대표, 최고위원도 아닌 이들이 질 수 있는 책임은 의원직 사퇴 밖에 없다.

<이상민 정치경제부 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77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