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29/ 남북정상회담, 평화의 섬 제주]

[창간29/ 남북정상회담, 평화의 섬 제주]
제주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은?
역대 주요 회담·남북교류사업 성과 '최고봉'
  • 입력 : 2018. 04.19(목) 20:00
  • 송은범 기자 seb1119@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 1996년 4월 제주에서 열린 정상회담 당시의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사진=한라일보 DB

섬 특성상 경비 완벽·수려한 경관 '안성맞춤'
원희룡 지사도 "평화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

오는 27일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5월 혹은 6월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반도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그동안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와 핵실험으로 한 때 한반도 전쟁설까지 나돌았지만, 최근 대화 분위기가 남·북, 북·미에서 동북아 국가로 확장 되는 등 획기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북한 비핵화는 물론 남북 종전 선언,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 등 한반도에 봄이 올 거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정상회담 개최 장소가 어디로 결정될지도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당장 판문점에서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에 국내 언론 168개사 1975명과 해외 언론 34개국, 180개사 858명이 취재를 위해 우리나라를 방문할 정도로 향후 북미 정상회담을 비롯한 주요 회담이 개최되는 지역은 '평화의 상징'으로 전 세계인들의 머릿 속에 자리매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보는 '평화의 섬' 제주에서 그동안 진행됐던 정상회담 개최 사례와 남북교류사업을 통해 앞으로의 북미 정상회담 및 주요 회담 개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 2004년 7월 제주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일본 총리. 사진=한라일보 DB

▶정상회담의 메카=제주가 평화의 섬이자 국제자유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배경 중 하나는 90년대부터 이어진 정상회담 개최였다. 섬이라는 특성상 보안·경비가 수월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휴양시설로 세계 각국 정상들을 맞이하기에는 '안성맞춤'이었기 때문이다.

외교무대에 제주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91년 4월 노태우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소비에트연방공화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이었다. 이 회담은 한·소 관계 개선과 더불어 한국이 북방외교의 문호를 개방하는 시발점이 됐다.

이어 1996년 4월과 6월에는 김영삼 대통령이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하시모토 류타로 일본 총리와 잇따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밖에도 벨기에 보드엥 국왕 내외(1992년 10월)와 리린칭 중국 부총리(1993년 9월), 우쉐첸 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1994년 4월), 리펑 중국 총리(1994년 11월), 두 무오이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1995년 4월), 카자흐스탄의 나자르 바예프 대통령(1995년 5월),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1995년 11월), 키르기스스탄공화국의 아스카르 아카예프 대통령(1997년 6월), 후진타오 중국 부주석(1998년 4월),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1999년 10월) 방문이 이뤄졌다.

2000년대에 들어선 이후에도 제주는 '정상회담의 메카'라는 이름을 놓치지 않았다. 2004년 7월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을 필두로 200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2010년 한·중·일 정상회담 등 굵직한 행사를 성공적으로 소화해냈다.

지난 2005년 12월 16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권호웅 내각책임참사가 16일 종결회의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한라일보 DB

▶남북교류사업의 발상지=제주는 지자체 차원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발상지로 꼽히고 있다. 이른바 '비타민C 외교'라 불리는 감귤보내기 운동과 흑돼지, 당근, 마늘, 겨울옷, 목초종자, 의약품, 자전거 등 다양한 인적·물적교류를 어느 지역보다도 활발히 전개했기 때문이다.

이에 북한은 총 4차례(2002년~2007년)에 걸쳐 836명의 제주도민을 북한으로 초청했으며, 2003년 10월에는 제주에서 북한 예술·체육 관계자 190명이 참가한 가운데 '남북민족통일 평화체육문화축전'을 개최하기도 했다. 또한 남북 장관급 회담도 5번(2000년~2006년)이나 열렸다. 이러한 성과는 이제 막 국제사회에 발을 담근 북한이 향후 자국 외 지역에서 외교활동을 펼칠 시 선택할 장소로 가장 먼저 제주를 염두에 둘 수 있다는 예측이 가능한 부분이다.

실제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는 지난달 17일 제주시 탐라도서관에서 열린 특강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정례화 된다면 회의 장소로 제주도가 유력하다"며 "특히 향후 비핵화 협의까지 이뤄지게되면 과거 스위스 제네바에서 미국과 이란이 대화를 진행한 것처럼 제주가 그러한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 역시 지난달 9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한 친서에서 "제주는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정착을 위한 논의의 장이자, 국제적 분쟁과 갈등을 예방·해결하는 완충지대 역할을 하고 있다"며 "미국과 북한이 대결구도에서 벗어나 평화의 길로 나아가는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며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장소를 제주도로 선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 밖에도 제주도는 ▷북한 감귤보내기 사업의 지속 ▷제주-북한 평화크루즈 추진 ▷한라산-백두산 생태·환경보존 공동협력 ▷한라에서 백두까지 남북한 교차관광 ▷제주포럼 북한측 인사 초청 ▷남북 에너지 평화협력 사업 등 일명 '제주도 남북교류 5+1 협력사업'을 제시하기도 했다.

현재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로는 제주를 비롯해 판문점, 몽골 울란바토르, 스위스 제네바, 싱가포르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동안 일궈낸 정상회담 개최 성과와 남북교류사업 실적 등은 한반도에서 봄이 가장 먼저 오는 제주에서 평화 분위기가 시작될 거라는 기대감을 갖기에 충분하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31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