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정보력 한계' 태영호·지성호 "무책임" 비판 확산

'대북정보력 한계' 태영호·지성호 "무책임" 비판 확산
"스스로 일어서지 못해", "김정은 사망 99% 확신"…'가짜뉴스'로
  • 입력 : 2020. 05.02(토) 13:43
  • 연합뉴스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미래통합당 태구민 당선인(서울 강남구갑)이 4월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선자 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일 건재를 과시함에 따라 '김정은 건강 이상설'을 퍼뜨려온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 탈북민 출신 국회의원 당선인들이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특이 동향이 없다'는 정부와 청와대의 계속된 설명에도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 출신인 통합당 태영호 당선인과 탈북민인 미래한국당 지성호 당선인은 '김정은 건강 이상설'을 부추겼다.

태 당선인은 지난달 28일 미국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않으면서도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김 위원장이 스스로 일어서거나 제대로 걷지 못하는 상태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태 당선인이 "김정은 일가의 동선은 극비사항"이라며 섣부른 추측을 경계하긴 했지만 '건강 이상'으로 단정한 것이다.

급기야 지 당선인은 전날 "김 위원장의 사망을 99% 확신한다"고 말했다. 사망 시점으로 '지난 주말'을 언급했고, 이번 주말 북한의 공식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내놓았다.

태 당선인은 고위급 탈북민이고, 북한인권운동가인 지 당선인은 지난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회 국정연설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이들의 주장에 무게가 실렸다.

이들이 북한 내부 사정에 정통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깔렸다.

하지만 이날 오전 조선중앙방송과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이 김 위원장의 전날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 참석 소식을 전하면서 두 당선인의 주장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대북 소식통을 통해 확인했다'는 지 당선인의 사망설 주장은 하루 만에 '가짜뉴스'가 됐다.

'북한에 대한 정확한 분석·전망을 통해 북한의 본질을 알리고 대북정책을 제시하겠다'는 포부를 밝혀온 이들 당선인이 국회의원 배지를 달기도 전에 '신뢰로 추락'을 자초한 셈이다.

이는 탈북민 출신인 이들 당선인의 대북 정보력에 대한 의구심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국회의원 당선인 신분으로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지나치게 가볍게 다뤄 혼란만 부추겼다는 비판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의원 자질론'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당장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태영호·지성호 당선인 등의 언급은 무책임한 발언이었다"며 "'사망설', '위급설' 등을 주장하려면 근거를 갖고 책임 있게 해야 했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특정 국회의원 당선인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며 비판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특이 동향이 없다'는 거듭된 정부 입장을 두 당선인이 사실상 부인, 혼란을 초래한 점을 겨냥했다고 할 수 있다.

4·15 총선 참패로 위기에 처한 통합당 입장에서는 설상가상이 될 수 있다. 통합당 지도부는 그동안 김정은 건강 이상설에 대해 언급을 자제했으나, 두 당선인에 대한 비판이 통합당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통합당 출신으로, 현재 무소속인 윤상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은 지난달 21일 기자회견을 자청, '북한에 정통한 사람들'이라는 소스를 인용해 "심혈관 질환 수술한 것이 맞는 것 같다. 김 위원장 신변에 이상설이 제기될 만큼의 징후가 있는 건 사실"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지난달 28일 국회 외통위 전체회의에서 통합당 의원들은 '특이 동향이 없다'는 정부 입장에 대해 "어떻게 곧이곧대로 믿으라는 것인가"(유민봉 의원) 등 불신을 표시한 바 있다.

16대 국회의원과 김대중 정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냈던 장성민 전 의원도 페이스북 글을 통해 "김정은은 한마디로 의식불명의 코마(coma) 상태인 것 같다"고 주장한 바 있다.[연합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