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물관리 정책, 공급 위주→수요관리 전환을"

"제주 물관리 정책, 공급 위주→수요관리 전환을"
5일 제주지하수연구센터 개원 2주년 학술세미나
  • 입력 : 2022. 10.05(수) 16:53
  • 강다혜기자 dh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제주 물 지하수 위기에 대한 집행기관의 대처법을 상수도 신설 등 공급 위주에서 수요 관리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연구원과 제주대학교, 한국지절자원연구원은 제주지하수연구센터 개소 2주년을 기념해 5일 호텔 난타에서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는 고기원 곶자왈연구소장의 '싱가포르 물부족 극복과정과 정책'의 기조강연에 이어 박원배 제주지하수연구센터장의 '제주형 통합 물관리계획' 발표, 김진근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장의 '제주도 물인프라 현황과 과제'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이날 김진근 센터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지역 수자원 관리의 고려사항으로 높은 지하수 함양률 및 고갈·수질오염 심화, 빈번한 가뭄과 홍수, 지속가능한 수자원관리 정책 필요성 등을 꼽았다.

2020년 기준 제주도의 1인 당 1일 물 사용량은 321ℓ로, 전국 평균 295ℓ대비 8.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제주 누수율은 41.3%로 전국 평균인 10.4%을 훌쩍 뛰어넘었다. 누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연간 587억 원에 달하고 있다.

하수도의 경우 하수처리장 증설사업 지연, 펌프장·차집관로 과부하, 노후 하수관로 등 산적한 현안 문제도 지적됐다.

이어지는 종합토론에는 우남칠 연세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이영웅 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강경문 제주도의회 의원, 현윤정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 진기옥 도 물정책과장이 참여했다.

이영웅 사무처장은 "지하수 위기에 대한 제주도의 대처법이 상수도 공급 확대 및 공급망 개선, 하수처리시설 증설·신설 등 사실상 공급 정책 위주인데, 원인 진단이 제대로 되지 않은 해결 방법"이라며 "지하수 이용 실태의 원인은 관광객·인구 증가, 비닐하우스 증가 등 수요의 증가가 가장 크다. 수요관리가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빗물이용 또는 대체수자원 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현장에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데다, 적절한 수요 관리 정책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사무처장은 "정기적으로 수립되는 여러 법정계획들 관련, 수자원 또는 지하수 보전을 위한 계획과 연계가 잘 되지 않고 있다"며 "수자원관리계획의 경우 중장기적으로 수립되더라도 하위 계획 또는 부차적으로 반영되는 정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방향성을 제대로 잡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진기옥 도 물정책과장은 "도민들의 지하수 관련 위기의식 제고를 위해 도와 연구센터에서 찾아가는 지하수 교육을 읍면동별로 시행하고 있고, 물 재이용률의 경우 현재 3.6%에서 앞으로 2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 과장은 또 "가장 큰 문제가 물관리 거버넌스 구축 과제인데, 소규모가 아닌 읍면동 별 구축 또는 각계 관계자 최대 인원을 모실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서 거버넌스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81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