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기후위기 속 기상재해 안전지대 아니다

제주 기후위기 속 기상재해 안전지대 아니다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단체 제주지속가능발전연구회
제주연안 재해 예방 및 관리체계 선진화 전문가 토론회
  • 입력 : 2023. 07.10(월) 16:57  수정 : 2023. 07. 11(화) 15:26
  • 이태윤 기자 lty9456@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기후위기 속 기상재해 증가와 미래의 재난이 우려되는 가운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첨단기술 기반의 사전 예방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제주지속가능발전연구회(대표의원 임정은)는 10일 도의회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제주 연안재해 예방 및 관리체계 선진화 전문가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박창열 제주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제주의 연안재해 문제와 향후 관리체계' 주제발표에 나서 연안재해와 관련해 제주의 향후 관리체계로 첨단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태풍 길목에 위치한 제주는 지정학적으로 자연재해에 매우 취약한 여건이다. 더욱이 최근 기후변화 영향 심화로 태풍 발생규모 확대, 집중호우 발생빈도 증가, 해수면상승 가속화 등이 이뤄지고 있고 또 호우의 산지효과(한라산 등) 등에 의해 하천 돌발홍수 및 연안 복합재난 발생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박 부연구위원은 제주의 재난안전 환경 악화로 예방 및 대비체계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홍수 위험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위험상황속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와 함께 IPCC의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전망에 따르면 제주지역 강우의 발생특성은 더욱 극단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제주의 해수면 상승은 지난 38년간(1970~2007년) 약 23㎝에 달하는데, 과거 추세가 지속될 경우 향후 10년간 6㎝ 추가 상승이 전망되고 있다. 더욱이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제주주시 삼양동 해안가,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해안가 등의 주거지가 침수 될 우려가 있어 대응체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부연구위원은 연안재해의 향후 관리체계는 기후변화 대비 도민 생명과 신체 보호를 관리 기조로 삼고 첨단기술 기반의 사전 예방 영략 강화를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위험현장 중심의 안전지원 서비스(실시간 안전 서비스)와 위험상황 맞춤형 안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68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