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늘봄학교 정책을 안착시키고 궁극적으로 아동을 위한 방과후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등 기존 돌봄노하우를 가진 기관과의 협력을 공고히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13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늘봄학교와 지역사회돌봄기관 협력'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늘봄학교 운영 주체인 학교와 지역사회 돌봄기관 간 상호 협력 체계 구축 방안을 고민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지난 4일 2024년 새학기가 시작되며 '늘봄학교' 운영도 첫 발을 뗐다. 제주에서는 55개교가 참여하며, 참여 학생은 초1 전체 4269명 중 82.2%인 3509명이다.
이날 토론 참가자들은 늘봄학교 늘봄학교 정책을 예정보다 일년 앞당겨 서둘러 시행하게 되며 담당 인력과 프로그램, 공간까지 부족한 상황이라는 우려에 공감했다. 그러면서 아이들의 '돌봄'을 공교육 기관인 학교가 모두 담당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인지 재고해야 한다는 데 의문을 품었다. 이어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나서는 돌봄 협의체가 전제돼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정득 전 제주연구원 사회복지연구센터장은 '늘봄학교 정책과 지역돌봄기관 협력발전 방안모색'을 발제했다.
김 전 센터장은 "학교 밖 기존 돌봄서비스 정책을 조율해 중복 및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내 67개소 지역아동센터와 다함께 돌봄센터 7개소,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10개소 등 기존의 돌봄노하우를 가진 기관을 '거점 돌봄지원센터'로 지정할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기했다.
이어 김 전 센터장은 '제주형 늘봄학교 모델(안)'을 제기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현재 유명무실하거나 쓰이지 않는 복합시설을 활용해 '늘봄거점센터'를 구축하거나, 지역아동센터 또는 다함께 돌봄센터에 등에 '거점 지역사회 통합돌봄센터'를 설치할 수 있다는 방안도 내놨다.
제도적으로는 제주도의 15분 도시 정책 또는 교육특구 시범사업과 연계해 권역별 마을돌봄모델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토론에서는 늘봄학교 정책이 기존 돌봄시설에 대한 배려와 존중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안명희 (사)제주특별자치도지역아동센터연합회 제주시지회장은 "늘봄학교를 확대하게 될 경우 지역아동센터로의 아동의 유입 경로가 아예 막히게 되는 것"이라며 "늘봄학교의 전교생 확대로 지역아동센터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마저 차단된다면 사회적 가정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늘봄학교가 과연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늘봄학교와 지역돌봄기관 및 시설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이렇게 급하게 시행하는지 묻고 싶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