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단체들은 서한문을 통해 "3만명 이상이 희생당한 제주4·3 학살은 이승만 정부와 당시 대한민국 군과 경찰의 작전통제권을 갖고 있던 미군이 경찰 폭력과 분단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심각하게 탄압한 결과"라며 "정작 책임을 져야 할 미국 정부는 70년 넘는 긴 세월이 흘렀지만 아직까지 방관자적 태도로 아무런 말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은 제주 4·3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지고 공식 사과해야 한다"며 "UN(국제연합) 총회에서 채택한 국제인권법의 중대한 위반행위와 국제인도법의 심각한 위반 행위의 피해자 구제·배상에 대한 권리에 관한 기본 원칙과 가이드라인에 근거해 민간인 학살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