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희기자의 문화현장]제주 도서가 콘텐츠의 출발

[진선희기자의 문화현장]제주 도서가 콘텐츠의 출발
  • 입력 : 2009. 04.07(화) 00:00
  • 진선희 기자 jin@hallailbo.co.kr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에서 내는 자료집
중장기 계획 마련 발간을
학술서 공모 사업도 필요


연초 제주도의 지원을 받아 3개년 사업으로 '제주의 민속(제주민속문화총백과사전)'을 발간한다고 했던 한국문화원연합회제주도지회가 최근 방향을 틀었다. '제주의 접(契)' 자료 조사집을 내는 것으로 의견을 다시 모았다. 계의 일종인 '접'을 통해 제주문화의 일단을 들여다보겠다며 50여개 대표 마을을 조사하기로 했다.

이들이 사업의 내용을 바꾼 배경중 하나는 일부에서 '제주의 민속'이 종전에 나온 몇몇 자료집과 중복된다는 주장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2001년 '제주도 세시풍속'을 냈던데다 문화원연합회도지회가 2007년부터 한경면을 시작으로 걸음을 떼어놓은 '역사문화마을지'에 지역별 세시풍속이 담겨있다는 것이다.

제주도에서 예산 전액을 끌어와 출판되는 제주의 역사문화 관련 도서는 매해 끊이지 않는다. 사실상 제주도에서 내는 '제주문화자료총서'로 볼 수 있다.

이들 자료는 비매품으로 나오지만 '제주 문화 알기'에 눈길을 주는 도민들이 부쩍 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듯 수요가 만만치 않다. 제주문화원이 지난 1월에 낸 '남사록(상)'은 1000부를 찍었는데 도서관이나 관련 기관으로 향한 150부를 포함해 이미 제주 안팎에 900부 가량이 흩어졌다. 문화원연합회도지회의 '한경면 역사문화지', '남원읍 역사문문화지'를 찾는 발길도 꾸준하다. 제주전통문화연구소가 용역을 맡아 얼마전 발간한 '제주신당조사(제주시권)'는 300부중 공공도서관에 배포한 것이 절반이고 나머지는 벌써 동났다.

제주 자료에 대한 독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이의 발간사업도 중장기 계획을 짜서 추진할 필요가 있겠다. 중복되는 사업은 없는지, 책꽂이용 장서로만 머무는 것은 아닌지 말이다. 비매품으로 제작되는 탓에 정작 필요한 이들이 책을 구할 수 없다는 오래된 불만이 있어 일부 도서에 한해 판매용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내놓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제주섬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제주학'이라 부름직한 자료 발간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의 몇몇 자료집처럼 해가 바뀌면서 달라진 내용을 증보판 형식으로 담아내는 작업으로는 한계가 있다.

어느 번역자는 오래된 제주 사료를 우리말로 옮긴 것을 들고 제주도청 관련 부서의 문을 두드렸다가 지원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외면당했던 일을 털어놓았다. 미리 출간도서 목록을 정해놓는 한편에 제주 관련 학술·교양서 발간을 위한 연구과제 공모 등을 통해 숨어있는 자료와 연구자를 찾아내는 일이 필요하다. 제주도에서는 제주 도서 출판 항목을 따로 마련해 자료집 발간의 연속성을 담보하고 그 흐름을 이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즈음 기회만 되면 제주문화 콘텐츠를 거론하는데 그 기초가 되는 것이 출판이다. 제주도가 예산을 대는 제주 관련 자료집 출간이 좀 더 치밀하게 준비되어야 하는 이유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08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