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자연과 자랑스런 문화유산

아름다운 자연과 자랑스런 문화유산
이호신의 진경산수화 '가람진경·지리산진경'
  • 입력 : 2013. 01.11(금) 00:00
  • 표성준 기자 sjpy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이 땅에 뿌리내리고 오랜 세월 서로를 보듬으며 살아온 모든 것들에 두 손을 모으는 화가가 있다. 하찮은 풀벌레와 수령 삼사백 년을 훌쩍 넘긴 신목, 졸졸 흐르는 실개천과 굽이쳐 흐르는 강, 그리고 이들에 기대어 대대손손 삶을 일궈나간 다양한 사람들까지 이 화가의 눈길과 발길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한국화가 이호신은 진경산수 기법을 계승한다. 실재하는 경관을 사생(寫生)하는 진경산수는 겸재 정선(1676~1759)이 우리나라 산천의 아름다움을 화폭에 담으면서 발전시켰다. 마주한 자연경관이나 대상에서 느낀 인상을 빠른 필치로 그려내거나 관념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산세와 지세, 물의 흐름은 물론 풀 한 포기, 나뭇잎 하나까지 샅샅이 살피는 관찰의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는 기법이다. 화가는 이 땅 위의 것들과 교감하고 감응하며, 그 마음을 붓끝에 모아 하얀 종이에 한 폭의 그림을 완성하게 된다.

작가는 20여 년의 세월 동안 지난한 작업에 매진한 결과를 두 권의 책으로 정리했다. 하나는 이 땅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으로 옛 현인들의 지혜와 안목이 집약된 사찰을 그린 '가람진경'이고, 다른 하나는 이 땅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역사와 문화, 삶의 터전이 되어준 어머니 산을 그린 '지리산진경'이다. 이 진경산수 시리즈는 특정 전시를 위해 그림을 모아놓은 단순한 전시도록이나 화보집이 아니라 이야기를 갖추고 짜임새 있게 구성한 단행본이다.

화가의 품속에 늘 함께하며 밑그림과 습작을 담아낸 수천 권의 화첩에서 배양됐으며, 책에 수록된 290여 점의 그림은 사찰과 지리산으로 대표되는 우리나라의 아름답고 장엄한 자연과 문화의 정수요, 오늘날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역사와 삶의 현장이다. 시대 변화와 발전의 기치를 앞세우기 이전에 살피고 지켜나가야 할 가치들의 기록이라 할 만하다.

이 책의 장정은 오랜 시간을 들여 수작업으로 진행해 불필요한 장식 서체나 이미지를 배제하고, 책등을 덮어 가리는 부분을 없애 실로 맨 부분을 드러내개 함으로써 전통 서책의 느낌을 자아낸다. 양장제본과 달리 책등이 완전히 꺾여 책의 양쪽 면이 180도로 펼쳐지면서 폭이 최대 4m에 이르는 장대한 작품들까지 온전히 감상할 수도 있다. 수제본 마무리 작업을 하고 출고를 기다리던 중 지난해 말 소방관 한 명이 순직한 일산 문구류 창고 화재에서 대부분 소실되고 500여 세트만 살아남은 사연을 간직한 책이다. 다빈치. 12만원. 문의 02-2266-2502.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7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