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진단]道로 넘어간 시청사 이전부지

[데스크 진단]道로 넘어간 시청사 이전부지
미래지향 시각으로 백년대계 밑그림을
  • 입력 : 2013. 02.15(금) 00:00
  • 이윤형 기자 yhlee@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시 도남동 시민복지타운으로 제주시청사를 이전하는 문제가 10여년째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제주도 차원에서 폭넓은 검토를 위해 제주시가 맡던 업무를 맡기로 해 향후 추진 방향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사진은 제주시 도남동 시민복지타운내 시청사 이전 부지. 강희만기자

'이전이냐 아니냐' 양자택일식 접근방식 안돼
'제로섬 게임' 아닌 '윈윈 게임' 될 수 있어야
"공공성 확보… 도시계획 큰 틀 속에서 논의"

해법은 없는 것인가. 제주시 도남동 시민복지타운내로 제주시청사를 이전하는 문제가 10여 년째 제자리를 맴돌면서 제주도가 팔을 걷고 나섰다. 제주도 차원에서 폭넓은 검토를 위해 제주시가 추진하던 업무를 지난달 떠맡기로 한 것이다. 이제 공은 제주도 넘어갔다.

▶이전 백지화까지=시민복지타운은 당초 민선 1기 고민수 시장이 '중앙시민공원'을 조성하자는 구상에서 시작됐다. 이후 김태환시장 시절에 시민복지타운으로 조성 제주시청사를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2002년 도시개발구역으로 결정될 당시부터 제주시청사를 이전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약 10년 만인 2011년 12월 김병립 전 시장에 의해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제주도의 뜨거운 현안 중의 하나로 떠올랐다. 1300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신 청사 건립 비용 등 현실적 어려움이 백지화 결정의 배경이다.

▶시민·토지주 시각은=제주시는 시청사 이전 백지화 결정 이후 지난 1년여 간 TF팀을 운영하면서 20세 이상 일반 시민(464명중 94명 응답)과 토지소유자(268명 중 88명 응답)를 대상으로 내부적으로 설문조사를 벌였다. 시청사 이전 불가방침에 대해서는 일반인은 불가피한 결정이 절반을 차지했으며, 적절하지 못하다가 41%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토지주는 적절하지 못하다가 대다수(98%)를 차지 일반인과 대조를 보였다. 그렇다면 시청사 이전부지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일반인 응답자는 '시청사 이전'-'시민공간 조성'-'다른 행정시설 조성'-'시민공원' 순의 응답을 보였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소유주는 대부분 시청사를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으며, 상업적 용도 등 일부 의견도 제시됐다. 일반인들은 시청사를 포함한 공공용지 활용에 긍정적인 반면 소유주는 원래대로 시청사를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아 시각차를 드러냈다.

▶해법찾기는 어떻게=제주도가 관련 업무를 맡은 만큼 시청사 부지 활용문제는 당초 조성취지대로 공공용지라는 기본틀에서 접근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시청사를 이전하느냐 마느냐의 양자택일식 접근은 졸속으로 흐를 우려가 크다. 현 시청사와 시민복지타운내 청사 이전부지 활용 문제는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아이디어 차원에서 거론된다. ▷현 시청사를 보조청사로, 시민복지타운은 주청사 건물을 지어 주거문화기능을 겸한 복합공간화 한다거나, 혹은 ▷근대문화유산인 현 시청사 건물은 놔두고 한국은행제주본부 건물을 활용하면서 종합민원실 등은 철거 일대를 문화와 소통의 시민공간으로 조성하고 시민복지타운은 제주미래를 위한 공공용지로 활용하는 안 등등 백가쟁명이다. 어쨌든 제주도 정치행정사의 중심공간이었던 현 시청사와 도심권을 살리고 청사이전부지를 제대로 활용하면서 토지주들도 일정부분 만족시킬 수 있는 솔로몬의 지혜를 찾아야 한다.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 윈윈 게임이 될 수 있도록 해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박용현 제주도 도시디자인본부장은 "TF팀을 구성해서 현 시청사 문제를 포함 정책적 문제들을 도시계획차원에서 접근 종합적으로 판단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방향설정 고민해야=시민복지타운내의 시청사 이전 부지(4만4707㎡)는 제주시 도심에 마지막 남은 공공용지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이만한 규모의 공간을 확보할 기회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때문에 침체된 원도심권의 활성화와 도시재생 차원뿐 아니라 제주도 전체를 디자인하는 미래지향적인 도시개발의 큰 틀 속에서 백년대계의 밑그림을 그려나가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김태일 제주대 건축학부 교수는 "시청사 이전부지 활용 문제가 흑백논리에 치중하는 것 같아 아쉽다"며 "공공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장기계획을 세우고 미래지향적인 제주시 도시계획의 큰 틀 속에 해법을 찾아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윤형 사회교육부장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770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