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날 특별기획/제주수자원관리 틀을 바꾼다](3)통합수자원관리

[물의 날 특별기획/제주수자원관리 틀을 바꾼다](3)통합수자원관리
지하수·용천수·빗물 등 통합관리 선언
  • 입력 : 2013. 03.21(목) 00:00
  • 강시영 기자 sy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자치도는 2022년까지 현행 96%인 지하수 이용률을 89%까지 낮추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현재 지하수 개발·이용 위주의 수자원관리를 빗물, 용천수, 하수처리장 방류수 등 대체수자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사진은 제주시 김녕 소재 용천수인 청굴물 전경. 사진=한라일보 DB

대체수자원 이용률 총수량 4% 수준 그쳐
농업용 지하수 관정 3316공… 전체 68%
농업용수 투자대비 효율성 낮아 개선 시급
지하수 의존 탈피 대체수자원 통합관리로

수자원관리종합계획은 앞으로 10년간 지하수 외에 용천수, 지표수, 빗물 등 대체수자원까지 포함해 통합수자원관리 체계로 전환하려는 정책 목표와 투자계획을 구체화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지하수 정책 전환=2011년 기준으로 대체수자원 이용률은 2500만톤으로 총수량 6억2800만톤의 4%에 그치고 있다. 이를 오는 2022년에는 총수량 6억4000만톤의 7200만톤으로 현재보다 7% 증가한 11%까지 끌어올리게 된다.

먹는물을 포함한 생활용수는 지하수를 이용하고 고수질을 요하지 않는 농업용수, 기타 용수 등은 빗물, 용천수, 하수 방류수 등 대체수자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된다. 지금까지 지하수 위주의 관리 정책에서 전 수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수자원관리체계로 정책을 바꾸는 것이다.

통합수자원관리체계로 전환하는 데는 2022년까지 4개 과제 18개 세부과제에 약 4177억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대체수자원 개발·이용 확대=오는 2022년까지 현행 96%인 지하수 이용률을 89%까지 낮추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현재 지하수 개발·이용 위주의 수자원관리를 빗물, 용천수, 하수처리장 방류수 등 대체수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빗물, 용천수, 하수방류수 등 대체수자원 개발·이용을 2258개소에 연간 약 5468만3000톤으로 확대하며, 이를 통해 일 약 14만9816톤의 추가 용수를 확보하여 공급할 계획으로 추진 중이다.

▶광역 농업용수 공급체계로의 전환=2011년 기준 농업용 지하수 관정은 3316공으로 전체 개발관정 4851공의 68%에 이른다. 취수허가량은 87만4000톤/일으로 전체 145만8000톤/일의 60%를 점유하고 있으나 농업용수 부족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이다.

최근 12년간 공공농업용 관정의 연평균 지하수 이용량은 한국농어촌공사의 모니터링 결과 취수허가량 대비 21.4%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농업용수의 경우 투자 대비 효율성이 낮은 것이다. 이런 문제는 현 농업용수 개발·공급 체계가 소규모 관정 위주의 독립적 운영 체계로 구축되어 있어 개발된 용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용수공급 체계의 전반적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기존 1~2개의 관정별로 구성된 소규모 급수구역 및 급수시설 체계를 탈피, 최소 리단위의 광역 급수체계 구축을 위한 3000톤 규모의 대규모 광역배수조 설치와 관로연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 100톤 규모의 소규모 저수조를 확대하고 용천수, 저수지 등 대체수원과의 연계를 통해 권역별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제주도는 대체수원과 연계해 권역별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사진은 제주시 한경면의 가뭄대책용급수 장소 전경.

▶선진형 용수 공급체계 구축=제주도는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어 지하수의 체계적인 수량 관리를 위해서는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상수도와 농업용수의 생산에서 급수(관수)에 이르는 과정에서 누수와 이에 따른 과다한 에너지(전력) 사용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용수공급 체계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제주도는 상수도의 경우 상수도공급시스템의 노후시설 교체, 유수율 제고, 상수도 공급 블록화 등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주요 시스템적인 요소를 상수도 분야에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무단수 상수도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상수도 블록화 시범 사업, 민자 사업을 통한 상수도공급시스템의 노후시설 교체 및 상수관망 교체 등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통합수자원관리 거버넌스 구축=수자원 처럼 도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문제는 구성원간의 긴밀한 협조가 필수 사안이므로 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각계 각층의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제주도는 앞으로 통합수자원관리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상생협의체 운영을 검토중이다. 수자원관리종합계획에 따른 사업 추진 시 민-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사업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4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