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논분화구 프로젝트/ 세계의 보물로](2)어떻게 추진돼 왔나

[하논분화구 프로젝트/ 세계의 보물로](2)어떻게 추진돼 왔나
2002년 야구전지훈련장 백지화… 복원 위한 범국민기구 출범
  • 입력 : 2016. 08.01(월) 00:00
  • 강시영 기자 sy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2012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자연보전총회(WCC) 때 제주형 의제인 하논분화구 복원 워크숍. 사진=한라일보 DB

생태숲 자원복원사업 용역 복원프로젝트 공론화 서막
2013년 IUCN본부 방문 등 국제 전문가그룹 공조 성과

하논은 한반도에서는 유일한 마르(maar)형 분화구이다. 분화구 안에 섬(분석구)이 있어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분화구다. 마르는 뜨거운 마그마가 지하수와 접촉해 발생한 폭발에 의해 만들어지는 화산분화구다. 경상대 손영관 교수에 따르면 마르는 물로 채워져 얕은 수심의 화구호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마르라는 이름은 바다를 뜻하는 라틴어 'mare'에서 유래했다.

화구호였던 하논의 가치를 일찍이 알아본 것은 외국의 전문가들이다. 1998년 ALDP(Asian Lake Drilling Programme)에 의해서 하논에 대한 외국 지질학자들의 시추조사와 연구가 이뤄졌다.

하논분화구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2년 3월 서귀포시의 야구전지훈련장으로 활용계획을 발표하면서 부터다. 당시 서귀포시는 하논 일대 4만㎡ 부지에 40억원을 들여 2면 규모의 야구 전지훈련장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하논분화구에 스포츠, 위락, 쇼핑 등 관광위락단지로 개발해야 한다는 개발 압력은 끊이지 않았다. 한마디로 하논의 가치를 평가절하하거나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 계획은 각계의 비판과 반대에 직면해 결국 백지화됐다.

2013년 8월 하논분화구복원범국민추진위원회 대표단이 스위스 글랑에 위치한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본부를 방문해 줄리아 마르통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국제적 공조방안을 논의했다.

서귀포시가 후속대책으로 내놓은 것은 하논생태숲 자원복원사업 용역이었다. 이 용역은 하논복원프로젝트에 대한 공론화의 서막을 알리는 것이었다. 2004년, 2006년, 2010년, 2011년에는 하논분화구 복원·보전을 주제로 네 차례 국제심포지엄을 열어 화산·지질·생태분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하논의 가치를 논의하고 복원의 필요성을 서로 공유하는 장을 마련했다. 하지만 하논 토지매입비가 확보되지 않아 2006년 9월 복원사업은 중단됐다.

2010년부터는 하논분화구 복원·보전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활동이 행정과 민간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됐다. 2010년 8월 서귀포시 정책자문기구인 '비전 21'은 하논프로젝트를 핵심과제로 선정, 2012년 열릴 예정인 세계자연보전총회(WCC)의 제주형 의제로 반영해줄 것을 건의한데 이어 이듬해 1월에는 복원추진 로드맵을 수립했다.

2011년 3월 제주시 한라수목원에서는 발기인 30명이 참여한 가운데 하논분화구범국추진위원회 발기인 대회를 시작으로 그해 4월에는 창립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후 학계·문화예술계·환경단체 전문가·지역주민 등 580명의 추진위원이 참여하는 '하논분화구복원 범국민추진위원회(위원장 고충석·서영배, 이하 하논범추위)'가 1년 6개월의 준비 끝에 2012년 8월 3일 결성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대대적인 창립대회가 열렸다.

서귀포시와 하논범추위가 작성하고 제주특별자치도가 발의한 '하논분화구 복원 및 보전' 발의안이 2012 WCC에 상정되어 압도적인 찬성(99.3%)을 얻어 권고문(Recommendation)으로 채택되면서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의 지지와 공감대를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됐다. 하논분화구 복원사업이 국가 중요 정책과제로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2012 WCC를 계기로 하논분화구의 가치와 복원 필요성이 국제적 이슈로 급부상했다. 향후 세계 첫 사례로 기록될 하논분화구 복원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하논분화구 복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착수하기에 이르렀고, 2014년 6월 완료됐다.

2013년 8월에는 IUCN 등 국제환경단체와의 공조를 통한 복원프로젝트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하논범추위 대표단이 스위스 제네바 IUCN 본부를 방문, 줄리아 마르통 르페브로 IUCN 사무총장과 엔리끄 라만 총괄국장 등 고위관계자와의 면담을 가졌다. 이후 8월 26일 요청한 공식협조문서를 통해 하논분화구 복원·보전프로젝트에 IUCN 산하 전문가그룹인 생태계관리위원회(CEM, Commission on Ecosystem Management)가 참여하기로 결정되면서 IUCN 본부 차원의 국제적 협력과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 전문가그룹과의 공조 속에 복원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하논범추위가 중심이 되어 하논분화구복원프로젝트를 국책사업으로 국가정책에 반영시키기 위해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중앙정부의 관심과 하논분화구 관련 자연환경복원의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근거 확보, 활발한 대중앙절충, 국책사업 추진 전담조직 구성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특별취재팀=강시영 선임기자·이현숙·강경민·이태윤·김희동천기자

◇자문위원=김은식 교수(국민대, 복원), 김찬수 박사(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장, 식물), 양영철 교수(제주대, 제도 정책), 윤석훈 교수(제주대, 지질), 이석창 대표(하논범추위, 총괄)

"하논분화구 복원·보전프로젝트 대책 뭔가"

도의회 도정질문서 주요 이슈 다뤄
강연호·강시백 의원 국책사업 촉구
원 지사 "방문자센터 건립" 등 밝혀


사진 왼쪽부터 원희룡 지사, 강연호 도의원, 강시백 교육의원

하논분화구 복원보전프로젝트는 제주도의회에서도 주요 이슈로 다뤄져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가시적인 진전은 없는 상태다.

강연호 의원은 2014년 9월 도정질문을 통해 하논분화구 복원의 필요성에 대한 도지사의 의견은 무엇이며, 2012 WCC 후속조치 사업 연계 및 중앙정부·세계자연보전연맹(IUCN)과의 협력방안과 하논분화구 복원 국책사업 추진전담팀 구성을 촉구했다.

강시백 교육의원도 "하논분화구 복원사업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지 않으면 제주의 재정 여건상 어렵다"며 대책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이에 대해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에서 하논분화구의 보전과 복원에 대해 결의된 바 있기 때문에 생태적인 가치, 지질학적인, 역사적인 가치를 먼저 인식하고 잘 보전하고 키워나가야 된다는 방향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2600억원이 소요되는 복원사업에 앞서 사유재산권에 대한 훼손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근거 마련을 위해 전문가들의 지혜를 구하고 관계법령을 검토하고 정비하는 일부터 최우선적으로 해나가겠다. 법적인 근거가 마련된다면 순차적으로 사유지를 매입해서 하논분화구의 가치를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 지층에 대한 수직적인 샘플을 중심으로 박물관 등을 추진할 수도 있다"고 대답했다.

이어 2015년 4월 도정질문 때 강연호 의원은 다시 "2600억원이 소요되는 대형 프로젝트인 하논분화구 복원보전사업을 도에서 주관해 국책사업으로 추진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따졌다. 이에 원 지사는 "하논분화구 복원보전사업의 국책사업 추진을 위해 환경부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을 협의했으나, 하논분화구의 토지주의 동의가 필요한 부분이 있어 추진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올들어 지난 4월 20일 도정질문에서 강연호 의원은 다시 이 문제를 꺼내 들었다. 발언의 수위는 더욱 높아졌다.

강 의원은 "총회가 끝난지 4년이 다 돼 간다. IUCN에 공무원도 파견하고 있다. 발의안 관련한 추진 성과를 1년마다 통보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어떤 내용을 보고하고 있는지 궁금하다"고 했다. 강 의원은 "2013년부터 서귀포시민들이 힘을 합쳐 범국민추진위원회도 만들고, 예산이 부족해 사비로 사무실과 인건비를 충당하며 노력하고 있다"며 "도에서는 이런 시민들의 열정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 하논분화구 보전과 복원을 위해 국회에서 세미나를 개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에 원 지사는 "복원사업이 한꺼번에 갈 수는 없다"며 막대한 사업비 문제를 토로한 뒤, "당장은 하논분화구 방문자 센터를 건립하기 위해 위해 현재 공유재산 부분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 앞으로 해당 토지를 임대해 주민들과 생물다양성 협약을 맺고 그 부분을 원상에 가깝에 발전시키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강시영 선임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76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