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세상]해양 남방문화권으로 살핀 제주도 건축

[책세상]해양 남방문화권으로 살핀 제주도 건축
건축사 윤일이씨의 '동중국해 문화권의 민가'
  • 입력 : 2017. 03.10(금) 00:00
  • 진선희 기자 sunny@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반도와 다른 제주 민가
비주류·주변부 건축 인식
동중국해 문화권으로 보니
분동형 형성 배경 등 이해

제주도의 마을과 집터는 높은 곳이 아닌 낮은 곳에 자리하는 일이 많다. 제주도 민가는 긴 골목인 올레를 둬서 꺾여 들어가게 했다. 이는 강한 바람이 대지 내 건물에 맞닥뜨리는 것을 피하고 외부 시선을 차단해 내부의 독립성을 확보하려는 배려다.

한반도 민가가 유교의 영향으로 남녀별로 안채와 사랑채로 분리되었다면 제주는 세대별로 안거리와 밖거리로 이루어진다. 외형적으로 대가족을 이루나 실제로는 핵가족인 특수한 가족제도로 두 세대는 각각 정지, 장독대 등을 두고 침식과 생산경영을 분리한다. 주거 단위로 보면 한 가족이지만 경제적 단위로는 두 가족이나 다름 없다.

건축사학 분야에서 한국의 전통건축은 아시아대륙을 통한 북방문화 계통으로 인식된다. 반면 제주도 건축은 비주류 혹은 주변부의 건축으로 취급되어 왔다.

부산 출신의 건축사 윤일이씨가 쓴 '동중국해 문화권의 민가'는 다른 지역과 사뭇 빛깔이 다른 제주도 민가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된 책이다. 일본의 남쪽 끝인 오키나와(류큐)에서 잿빛 돌담에 둘러싸인 붉은 기와를 마주하면서 제주 초가를 떠올린 그는 제주도 건축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해양을 통한 남방문화의 관점이 필요하다고 봤다. 제주도를 중심으로 그 이남의 동중국해를 둘러싼 지역을 '동중국해 문화권'으로 묶고 제주도·규슈·류큐·타이완의 전통건축을 고찰해나갔다.

동중국해에 접한 연안·도서 지역은 국가와 육지라는 관념을 걷어내면 쿠로시오 해류와 계절풍으로 연결된 하나의 해양문화권으로 묶을 수 있다. 이곳은 선사시대부터 바다를 통해 남방문화가 지속적으로 전래돼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고 근세 이후 대륙을 통한 한·중·일 본토 북방문화의 영향으로 복합화·다변화 되었다.

이 지역의 민가는 강한 일사와 더위, 바람을 피하기 위해 몸채와 부엌채로 구성된 분동형 주거, 취사와 난방이 분리된 별동형 부엌, 수혈식과 고상식의 공존, 목조와 석조의 혼용 등이 나타난다. 해양과 관련된 수평적 신화가 주류를 이루고 주인공으로 여성이 자주 등장하는 남방지역민의 세계관은 가족구성, 가계 계승, 거주 형태에 영향을 미쳐 수평적 공간구성을 보인다.

지은이는 "이 책에서는 동중국해 문화권의 범위를 제주도, 규슈 연해부, 류큐, 타이완 동부로 한정했지만 이후 대상 범위를 확대해 한국의 남해안, 일본의 태평양 연안, 중국의 동부 해안까지 넓게 살펴본다면 남방문화에 의한 한국 전통건축의 형성 요인을 좀 더 다양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지니. 2만5000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21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