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제주 4·3의 전국화

[편집국 25시]제주 4·3의 전국화
  • 입력 : 2017. 10.12(목) 00:00
  • 부미현 기자 bu8385@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내년이면 제주 4·3이 70주년을 맞는다. 제주 4·3은 우리 현대사의 가장 큰 비극이자 제주도민들에게는 한(恨)의 역사다. 하지만 제주 4·3은 여전히 제주 섬 밖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에겐 피맺힌 역사이지만, 육지 사람들에게는 교과서에서 접한 역사에 머물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제주 4·3은 역사의 뒤안길로 잊혀져 가고 있는 게 현주소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가까스로 수면 위로 올라온 제주 4·3은 지난 이명박·박근혜 두 보수 정권을 거치며 또다시 보수·진보의 이분법적 시각 속에서 상처를 입었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을 법정 국가기념일로 지정했음에도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그 의미를 강조하는 행보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오히려 평화와 상생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제주도민의 염원을 외면하고 일부 보수 인사들은 4·3 흔들기를 시도했다. 국정역사교과서를 통해 단 몇 줄의 문장으로 제주 4·3의 역사를 왜곡·축소하려는 시도도 이뤄졌다.

이러한 분위기와 더불어 유해발굴사업, 유전자 감식, 배보상 문제 해결 등 아직도 풀어야 할 숙제가 많은 상황 속에서 제주 4·3의 전국화는 지금껏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었기도 하다. 그러나 그 많은 과제 해결의 가장 중요한 밑거름은 일반 국민들의 관심일지도 모른다. 끊임없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정치권이 관심을 갖고, 뉴스화되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보면 그러하다. 다행히 새정부는 제주 4·3의 완전한 해결을 국정과제에 포함시켰다. 그같은 정부 기조 속에서 제주 4·3의 전국화도 함께 이뤄낼 수 있을 거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70주년을 맞아 범국민위원회도 결성됐다. 제주 4·3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여건이 조성되어 있는 셈이다. <부미현 정치경제부 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1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