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탄소 없는 섬 제주, 현재와 미래 <2> 풍력개발 (2) 공공주도 개발의 기대 효과

[기획]탄소 없는 섬 제주, 현재와 미래 <2> 풍력개발 (2) 공공주도 개발의 기대 효과
'제주 바람' 개발 이익 도민 공유
  • 입력 : 2015. 10.29(목) 00:00
  • 김지은 기자 jieun@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는 풍력을 통해 2030년까지 도내 전력 사용량 57%를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리 풍력단지. 사진=한라일보 DB

도, 2030년까지 양질 일자리 1만8000여개 창출 전망
발전산업에 '특허' 개념 도입해 이익 지역사회 환원


제주도가 내놓은 '공공주도 풍력개발'의 핵심은 제주 바람을 공공자원으로 돌려놓는 것이다. 특히 육상 풍력 개발은 기업 중심의 대규모 개발이 아닌 마을회와 향토기업 등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개발 사업의 이익을 도민이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취지이다.

제주도는 풍력개발을 통해 다수의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는 영국의 사례를 적용해 2030년까지 풍력개발을 통해 1만8000여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2030년까지 총 2350㎿(육상 450㎿·해상 1900㎿)의 전력을 생산해 도내 총 소비전력의 57%를 대체한다는 목표에 따른 추산이다. 풍력 개발에 들어갈 사업비 9조9680억원 중 설비 구입비 등을 제외한 5조480억원이 제주에 투자되면 건설업이 활성화되고 풍력 발전 유지·보수, 운영 인력 등이 필요하게 돼 자연스레 일자리가 생길 거라는 얘기다. 유럽에서 해상 풍력발전기가 가장 많이 설치된 영국은 2010년(발전시설 용량 925㎿) 2만1000명, 2012년(2948㎿) 3만4000명의 고용을 창출한 것으로 전해진다.

공공주도 풍력개발이 진행되면 도민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제주도의 입장이다. 발전사업에 '특허' 개념을 도입하면 이익이 지역 사회에 환원될 거라는 구상이 작용한다.

또한 개발 사업에 따른 행정 절차가 속도를 내게 돼 사업 참여자들의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는 곧 투자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이다. 공공주도로 풍력개발이 이뤄져도 막대한 사업비가 요구되는 해상 풍력은 공기업, 민간기업 등의 투자를 유치해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대감이 담긴 공공주도 풍력개발은 이미 닻을 올렸다. 제주도는 지난달 25일 풍력개발을 주도할 풍력발전사업 시행예정자로 제주에너지공사를 지정했다. 공사는 풍력발전단지 후보지 선정과 지구 지정 절차 이행, 공모를 통한 개발사업자 선정을 맡게 된다. 개발 사업에 투자자로도 참여한다. 풍력발전 참여자 선정 기준은 오는 12일 중으로 마련돼 고시된다.

풍력발전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움직임도 시작된다. 제주도는 내년부터 풍력발전 유지·보수를 맡는 전문기업을 육성하고 인력 양성에 들어갈 예정이다. 설비의 유지·보수를 지역적 특화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시도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공공주도의 풍력개발을 위해 풍력발전사업 허가와 지구지정 등에 관한 제도를 개선할 것"이라며 "2030년까지 도내 전력 사용량의 57%를 풍력발전,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면 에너지 자립도시와 탄소 없는 섬을 실현해 청정 제주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98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