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철우가 '북한 1호' 살려내려한 이유는…영화 '강철비'

두 철우가 '북한 1호' 살려내려한 이유는…영화 '강철비'
  • 입력 : 2017. 12.12(화) 09:55
  • 연합뉴스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강철비'. 뉴 제공

실질적 핵보유국인 북한에서 쿠데타가 일어나 정권이 순식간에 붕괴된다면? 첩보액션 블록버스터 '강철비'는 충분히 가능성 있지만 막상 구체적으로 그려보긴 꺼려지는 핵전쟁 시나리오를 끌어들여 국제정세 속 한반도의 현실과 남북관계를 바라보는 태도에 질문을 던지는 영화다.

제목 '강철비'는 미군 다연장 로켓 발사체계(MLRS)의 별칭이다. 영화 초반부터 '북한 1호'가 참가한 개성공단 행사장에 강철비가 쏟아진다. 북한 군부가 일으킨 쿠데타의 서막이다. 남쪽의 미군 보유 장비에서 로켓이 발사됐다는 점, 중국대사가 참가한 중국기업 개소식 행사에 폭격이 떨어졌다는 점은 앞으로 벌어질 일들이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음을 상징적으로 예고한다.

쿠데타 모의를 인지한 정찰총국장(김갑수 분)은 요원 엄철우(정우성)를 행사장에 파견한다. 엄철우는 중상을 입은 북한 1호를 트럭에 태우고 쿠데타 세력을 피해 남한으로 피신한다. 남한의 병원을 비밀리에 찾아다니며 북한 1호를 살리려 한다.

'강철비'. 뉴 제공

남한은 크리스마스를 앞둔 연말인데다 새 대통령의 정권인수 준비로 어수선하다. '핵은 핵으로 막아야 한다'는 소신의 소유자인 외교안보수석 곽철우(곽도원)는 북한 쿠데타로 당장 눈앞에 다가온 전쟁을 막는 게 급선무다. 북한은 정전협정을 일방적으로 철회하고 선전포고를 한 상황. 두 철우는 북한 1호를 치료하는 병원에서 우연히 조우하고 전쟁을 막는 데 힘을 합친다.

영화는 이때부터 혈맹이니 우방이니 하는 한반도 주변 강국들의 수사가 얼마나 허황된 것인지 밝히는 데 주력한다. 북한과 혈맹이라는 중국은 권력을 잡은 편에 서겠다며 쿠데타를 사실상 용인한다. 북한의 선전포고 이후 핵시설 선제타격을 주장하는 미국의 판단근거는 한반도에서 발생할 피해 규모가 아닌 시뮬레이션에 의한 예상 소요비용이다. 영화는 남쪽에 피해가 없을 거라고 자신하면서 자국민에게는 퇴거명령을 내린 미국을 은근히 비판한다.

남북한 수뇌부를 바라보는 시선 역시 단선적이고 주관적인 묘사에서 벗어나려 애쓴 기색이 역력하다. 특히 대북 대응을 둘러싼 보수 성향의 현 정권과 진보적 차기 정권 사이의 차이는 확연하다. 영화는 핵전쟁 위기 앞에서도 '공비와는 대화할 수 없다'는 보수파의 반대편에 서는 듯하지만, '북핵을 제거할 절호의 기회'라는 그들의 입장에는 판단을 유보하는 것으로도 보인다.

'강철비'. 뉴 제공

주변 열강은 물론 남북한 수뇌부 인사들도 분단상황을 각자의 이익에 이용하려는 상황에서, 두 철우는 이들과 뚜렷이 대비된다. 엄철우의 목숨 건 임무수행은 언뜻 북한 1호에 대한 맹목적 충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읽힌다. 그러나 그보다는 전쟁을 막는 게 궁극적 목적이었음을 드러내면서 곽철우와 뜻을 같이하게 된다.

두 철우는 이념을 공유하거나 한 핏줄이라서가 아니라 전쟁을 막기 위해 의기투합한다. 남북한 간 '브로맨스'라는 설정상 불가피하게 두 철우의 우애가 유머와 섞여 부각되긴 하지만, 영화의 메시지는 민족애나 휴머니즘보다 반전·평화에 가깝다.

그러나 핵무기는 뜻밖의 타격지점을 향하고, 북핵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결론 역시 관객의 예상을 한참 벗어난다. 이야기 전개상 필연적 귀결이 아닌 데다 관객 각자의 입장에 따라 논란의 소지도 있다. 엄철우 캐릭터와 달리, 북한 1호 후송에 함께한 소녀들이 지나치게 전형적으로 그려진 점은 아쉽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04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