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제주 최대쟁점 '제2공항'

6·13 지방선거 제주 최대쟁점 '제2공항'
본보, 도의원 대상 6·13 지방선거 설문조사
  • 입력 : 2018. 02.14(수) 20:00
  • 조상윤 기자 sych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가 제주자치도의회의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13 지방선거에서 제주지역 최대 쟁점은 제2공항문제가 될 것으로 예견됐다. 한라일보DB

30% 가량 공항 필요성·갈등문제로 '1순위'
특별자치도 완성·개발과 보전정책도 상위권


6·13 지방선거에서 제주지역 최대 쟁점은 제2공항문제가 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견되고 있다. 다만 제2공항 문제는 갈등해소를 통한 해결점을 찾는 방향으로 전개돼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라일보는 100여일 앞으로 다가온 6·13 지방선거와 설 명절을 앞둬 최근 제주도의회 의원(40명 중 설문 응답 38명)들을 대상으로 제10대 의회 임기동안 의정활동을 하면서 논의됐고, 또 문제 제기가 있었던 사안을 중심으로 이번 선거에서 쟁점이 될만한 사안 10가지를 제시해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결과는 도지사 후보와 도의원 후보 모두에게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설 연휴기간 안건마다 책임공방 또는 해결 적임자 선택 등을 놓고 지지 세력간 뜨거운 설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조사결과 응답자 중 12명이 제2공항문제를 선거쟁점 1순위로 꼽았다. 1순위로 꼽은 이유는 공항이용객 증가와 국제자유도시추진을 위한 공항 인프라 확충은 물론 제주의 미래 발전을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의견과 국책사업으로 반드시 유치될 사업이지만 표를 의식하는 후보자간 입장 및 당리당략적 접근 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답이 주류를 이뤘다. 수년째 이어져오고 있는 지역갈등을 하루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이유에서 쟁점 1순위로 꼽은 답변도 있었다. 특히 4년전 설문에서도 공항문제가 1순위로 꼽혔었다. 당시에는 '공항 인프라 확충'이라는 항목이었다.

제2공항에 이어 제주특별자치도 완성이 선거쟁점 두번째로 많은 선택을 받앗다. 이 쟁점을 1순위로 꼽은 의원은 8명이었다. 이들이 1순위로 정한 이유는 헌법개정 및 지방분권을 통한 지방의 활력화로 국가발전을 견인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답변과 함께 법적 효력을 갖춘 제주특별자치도가 되기 위해 쟁점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이다. 지방분권 내실화와 특별자치도의 의미와 형태가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것도 쟁점으로 꼽은 이유로 들었다.

제주자치도의 개발과 보전정책이 세번째 많이 꼽은 쟁점사항이었다. 1순위는 6표를 얻은 행정체제개편에 이어 5표였지만 2, 3순위를 합하면 모두 16명이 선거쟁점으로 분류했다. 1순위 응답자 대부분 급속한 양적성장과 그에 따른 부작용과 피로감으로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어 쟁점으로 꼽혔다.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개발로 제주의 최고가치인 환경이 파괴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개발로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이 담겨 있었다. 지역경제활성화 문제도 5명이 1순위로 선택한 항목이었다.

하지만 원도심활성화와 국제자유도시개발의 성공 등은 단 1명도 1순위로 선택하지 않았으며, 지난해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재활용품 분리수거 및 대중교통체계 개편을 선거쟁점으로 택한 의원은 3명에 지나지 않았다.

쟁점사안 10가지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개인적으로 쟁점화했으면 하는 내용을 물은 결과 1차산업 경쟁력 강화를 포함해 일자리 문제, 렌터카총량제, 중국발미세먼지, 안전제주, 축산분뇨, 지하수 및 상하수도 문제, 인구절벽 해결방안 등이 제시됐다.

이번 선거를 앞두고 의원들이 생각하는 도지사는 인물과 자질은 기본이고, 도민통합리더십을 갖춘 후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도민사회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통합형 리더십을 원했지만 한편으로는 전략적 리더십을 갖춘 후보가 도지사로 적합하다는 의견도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결과와 관련 김태석 도의회 운영위원장은 "선거쟁점으로 분류되고 있는 사안들 대부분이 정책결정의 투명성 부족과 함께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협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리더와 주민간의 소통은 물론 부서간 소통 부족 등으로 정책결정에 혼선이 빚어지고, 혼선이 빚어지면서 리더의 정책결정이 힘든 게 주 원인이었다"면서 "따라서 이번 선거를 통해 이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인물을 선택해야 하는게 유권자들의 몫"이라고 평했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18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