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신축년(辛丑年) 새해가 밝았다.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았지만 무거운 마음을 떨칠 수 없다. 새해에 대한 희망이나 설레는 마음이 결코 예전 같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초부터 예고없이 들이닥친 코로나19 사태가 아직도 끝나지 않아서 암울하다. 우리의 모든 것을 삼켜버린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새해에도 계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니 새해를 내딛는 발걸음이 가벼울리 없다. 코로나19와의 사투는 물론이고 우리 앞에 놓인 지역현안이 적잖아서 그렇다.
철저한 방역이 가장 큰 과제
무엇보다 새해에도 코로나19에 대한 철저한 방역이 가장 큰 과제이다. 한동안 뜸했던 코로나19가 지난해 11월부터 속출하기 시작했다. 11월 22명에 그쳤던 확진자가 12월에는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한달만에 300명 이상 신규 확진자가 쏟아져 나왔다. 지난해 2월 21일 제주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11월 말까지만 해도 80명 안팎이었다. 그게 불과 한달만에 감염자가 폭증하면서 400명을 넘어섰다. 신규 확진자가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지역사회 곳곳으로 퍼지고 있다. 지난해 선방했던 제주의 방역관리가 올해에도 시험대에 섰다.
제주 제2공항을 둘러싼 갈등이 수년째 풀리지 않고 있다. 2015년 11월 제2공항 건설계획이 발표된지 5년이 흘렀으나 찬·반 갈등은 여전하다. 제주도와 도의회가 갈등 해소를 위해 1월 중에 도민 여론조사를 실시하기로 해 새국면을 맞았다. 그런데 여론조사 문항과 방식에 대한 반발도 만만찮아 갈등 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 게다가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제주도가 "참고용"으로 못박으면서 더욱 우려된다. 여론조사가 자칫 갈등의 끝이 아닌 또다른 시작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제2공항 또다른 갈등 우려
제주4·3특별법 개정 역시 절실한 숙제다. 4·3희생자와 유족의 배보상을 골자로 한 4·3특별법 전부개정안의 국회 처리가 계속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정부와 여당이 4·3희생자에게 위자료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4·3특별법 개정에 합의하면서 기대감이 높아졌다. 하지만 여야 합의를 통한 4·3특별법 개정안 처리는 여전히 불투명해 보인다. 4·3희생자와 유족의 소원을 하루속히 풀 수 있도록 제주도와 의회 등 도민사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
제주경제도 말이 아니다. 코로나19로 제주관광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수학여행을 비롯한 단체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전세버스는 고사위기에 처했다.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크게 줄면서 숙박시설 등은 겨우 버티다 폐업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그나마 해외여행 수요가 제주로 몰리면서 렌터카 등 극히 일부 업종만이 반짝특수를 누리는데 그쳤다. 자영업자들은 존폐 기로에 내몰렸다. 이뿐만이 아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감귤과 채소 등 1차 산업도 피해를 빗겨가지 못하고 있다.
경제 활성화 방안 제시해야
코로나19가 모든 것을 앗아갔다고 해고 과언이 아니다. 문제는 새해에도 코로나19가 언제 종식될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현재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이뤄지고 있지만 집단면역을 갖출 때까지 코로나19와의 싸움은 피할 수 없게 됐다. 다들 예상하듯이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는 한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때문에 가장 중요한 먹고 사는게 문제다. 가뜩이나 어려웠던 지역경제가 녹록지 않아 더욱 걱정스럽다. 실제 제주경제의 핵심인 관광산업은 최악의 늪에 빠졌다. 또 건설업 등 제주경제를 지탱하는 산업들도 하나같이 최대위기에 직면했다. 이런 상황에서 도민들의 살림살이가 나아지길 기대할 수 있겠는가. 새해 제주도는 코로나19 방역과 함께 경제 활성화 방안도 확실히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 전례없이 맞은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