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숲 조성사업 효과 '의문'·관리 '엉망'

제주 바다숲 조성사업 효과 '의문'·관리 '엉망'
제주도의회·한국수산자원공단 29일 전문가 간담회
  • 입력 : 2022. 04.29(금) 16:50
  • 강다혜기자 dhka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 바다의 갯녹음화, 사막화를 막기 위해 추진 중인 '바다숲 조성사업'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지만 사후 관리나 효과성 검증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와 한국수산자원공단은 29일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제주도 해양수산자원 지속적 관리 플랫폼 구축 전문가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는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추진 중인 바다숲 관리사업, 수산자원 증대사업 등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송재호 국회의원과 이춘우 한국수산자원공단 이사장, 박광재 국립수산과학원제주수산연구소장, 고형범 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한국수산자원공단의 '제주도 수산자원 관리 및 개선방안' 발표 자료에 따르면, 제주지역에선 갯녹음과 바다 사막화 방지를 위해 바다숲·바다목장 조성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갯녹음이란 연안 암반 해역에 해조류가 사라지고 석회 조류로 뒤덮이는 현상이다. 바다사막화란 갯녹음이 심화되면서 석회 조류마저 사멸돼 암반이 백색으로 변화하고 해양 생물들이 사라지는 현상이다.

제주도는 2009년부터 바다숲 조성사업을 실시해 9884㏊의 바다숲을 조성했다. 또 바다목장 조성사업을 통해 인공어초·자연석 조성, 자원 조성, 서식 환경 개선사업 등을 벌이고 있다.

이날 발표회에선 제주도가 추진 중인 바다숲 조성관리사업과 수산자원 증대사업에 대한 문제점들이 지적됐다.

바다숲 조성관리사업과 관련, 수중환경 조건이나 물리적인 요인 등으로 단기간 사업 성과를 증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바다숲 조성 기간인 평균 4년 간 태풍에 의한 해조 탈락과 조식동물(패류, 어류) 등에 의한 피해가 생길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 바다숲 조성사업으로 단기간 내 어업인의 직접적인 소득 증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또 바다숲 조성사업이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된 이후,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사후관리가 미비해 바다숲 기능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특히 바다숲 조성을 위해 제주도가 자체 생산 중인 해조류가 없어, 전량 육지업체에서 공급을 받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해 쓰이는 이식 해조류들은 모두 육지에서 양식된 해조류인데, 제주도의 수중 환경과 조건이 다른 곳에서 사육됨에 따라 생존율이 낮을 뿐 아니라 어류의 피해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이에 제주 환경에 맞는 제주산 해조류의 생산, 공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 수산자원증대사업에 대해서는 사업효과 증명이 어려운 데다, 바다숲 조성사업과 마찬가지로 사후 관리가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사후 관리 대상지는 증가하는 반면, 사후관리 예산은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바다숲 조성사업의 사후관리 강화를 위해 관련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이 제시됐다. 바다숲 조성을 위해 제주에서 자체 생산된 '제주 바다숲 조성용 해조류'를 생산, 공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1 개)
이         름 이   메   일
7842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