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 폭행사건이 부른 언론 비판

[편집국 25시] 폭행사건이 부른 언론 비판
  • 입력 : 2015. 09.10(목) 00:00
  • 표성준 기자 sjpyo@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얼마 전 서울의 지인으로부터 오랜만에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문자 내용은 '미디어오늘'에 실린 칼럼을 링크해놓고 "사건의 전말은?"이라는 질문뿐이었다. 이른 아침의 문자는 그 궁금증의 깊이를 헤아리게 했다. 칼럼 제목은 '42세 기자가 57세 공무원을 폭행하는 사회'였다. 주관적 견해를 객관적 사실인 양 왜곡한 내용도 있었지만 언론계의 정화가 시급하다는 결론에는 백번 공감해야 했다. 그리고 수년간 끊긴 개인 거리를 단숨에 연결한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사건을 되짚어봤다.

경찰은 이번 사건 조사 결과 기자가 공무원의 얼굴과 목을 팔꿈치 등으로 8차례 때리고 협박한 혐의가 인정된다고 발표했다. 결국 기자는 상해와 협박 혐의로 검찰에 넘겨졌다. 그러나 현재로선 양측의 진술이 엇갈리는 사건의 전말을 확인할 길이 없다. 검찰의 추가 조사와 기소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으며, 기소되어도 법원 판단을 기다려야 한다. 그런데도 사건의 여파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지역 언론 전체에 대한 비판으로 확산됐다.

통상 양측의 주장이 엇갈리는 사건은 '논쟁'으로 인식돼 법원이 판결할 때까지 비판을 유예하던 것과는 다른 분위기다. 대한민국 법원은 공정한 재판으로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해 3심으로 진행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만큼 많은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이번 사건을 언론보다 빨리 그리고 널리 전파시킨 SNS에서 이유를 찾아볼 수 있었다.

지금 제주의 언론은 "술 안사면 보복기사 쓰고", "자신들의 치부는 서로 덮어주는", "도민의 입장에서 바라보지 못하고, 사주를 위해서는 개가 되는" 집단으로 비쳐지고 있다. 이쯤되면 세상을 탓할 게 아니라 언론 스스로 거듭나야 한다. '침묵의 카르텔'을 깨고, 스스로에게 '성역 없는 비판'을 던져 절망에 빠진 도민들에게 희망을 돌려줘야 한다. 특정 언론이나 언론단체에만 맡길 일이 아니다. <표성준 경제부 차장>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622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