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자연 '클린제주'가 미래다] (4) 조기 포화 위기 색달매립장

[청정자연 '클린제주'가 미래다] (4) 조기 포화 위기 색달매립장
15년이나 앞당겨진 포화시기 '발등의 불'
  • 입력 : 2016. 09.12(월) 00:00
  • 이태윤 기자 lty9456@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매년 배출되는 쓰레기가 늘어나며 서귀포시 색달매립장은 당초 예상보다 15년 빨리 포화될 것으로 보인다. 강경민 기자

재활용·음식물 쓰레기 하루 처리용량 넘겨 매립
건설 호황에 폐기물 덩달아 늘어 만적 '부채질'


최근 찾은 서귀포시 색달쓰레기매립장. 직원들이 뿜어져 나오는 악취를 견디며 쓰레기 선별작업에 구슬땀을 쏟고 있었다. 바로 옆 매립장은 많은 양의 쓰레기가 쌓여 오름을 연상케 했다. 당초 색달매립장은 2034년 12월까지는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지만 쓰레기량이 매년 급증함에 따라 당초 예측했던 시기보다 15년 빨리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이다.

▶10년간 연평균 5.7% 늘어=서귀포 지역의 쓰레기 증가 원인 중 하나는 귀농·귀촌 및 혁신도시 입주, 제주영어교육도시 전입 등으로 인한 유입인구의 지속적 증가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상반기 기준 서귀포시의 인구는 17만4621명이다. 지난 2011년 당시 서귀포 인구가 15만5691명임을 감안할때 5년 6개월 만에 1만9000여명이 증가한 셈이다.

서귀포시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쓰레기 양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해 색달매립장에 반입되는 하루 평균 쓰레기는 372t이지만, 2019년 인구 20만 시대가 열릴 경우 하루 평균 444t이 반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2026년까지 10년간 연평균 5.7%의 쓰레기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쓰레기 매립장 현황=서귀포시 지역내 쓰레기 매립장은 성산, 표선, 남원, 색달매립장 등 4곳이 운영 중이다. 이 가운데 색달매립장은 서귀포시 전체 매립용량의 86%를 차지하는 핵심 매립장이다. 매립용량은 71만5768㎡으로 현재 57만2904㎡가 매립됐다. 이에 따라 포화시기가 2034년에서 2019년으로 15년 정도 앞당겨져 있다. 남원매립장은 4만9733㎥, 성산 3만4085㎥, 표선 2만9252㎥규모로 각각 2023년, 2029년, 2027년 포화상태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서귀포시는 색달매립장 포화 시기가 다가오면서 2018년 5월에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들어서는 460만㎥규모의 제주환경순환자원화센터의 준공을 기다리고 있다.

▶원인은 무엇인가=쓰레기 대란이 제주를 찾는 관광객에 의해 심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서귀포시 생활환경과 관계자는 "관광객이 쓰레기 증가의 주 원인이라고는 할 수 없다. 관광객이 버리는 쓰레기는 하루 평균량의 12.7%밖에 차지하지 않는다"며 "행정과 시민이 힘을 모아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토로했다.

서귀포시는 지난해 2월부터 재활용품 등이 섞인 혼합쓰레기 반입을 금지시켰다. 쓰레기 매립장 조기 포화를 늦추기 위한 조치였으며, 올바른 분리배출의 정착화를 위한 일환이었다. 하지만 혼합쓰레기의 양은 감소한 대신 재활용쓰레기는 증가했다.

현재 서귀포시에서 재활용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용량은 45t이다. 하지만 이는 작년 6월 30t 처리능력의 생활자원회수센터가 준공된 데 따른 것으로, 이전에는 15t 용량에 불과했다. 재활용쓰레기 증가에 인프라가 즉각 대응을 못했다. 뿐만 아니라 미처 처리하지 못해 모라리 운동장을 가득 채우고 있는 야적쓰레기도 2500여t에 이른다.

소각도, 자원화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다보니 매립장 조기 포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앞으로 대책은=서귀포시의 건설폐기물 비중은 서귀포시의 전체 쓰레기량의 74%를 차지한다. 서귀포시가 최근 건설경기의 호황을 겪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이다. 건설폐기물은 반입단가가 저렴해 분리 필요성을 못 느껴 결국 혼합배출로 이어지고 매립장으로 직반입된다. 결국 매립률 과다 원인이 된다. 게다가 국제학교 순차적 개교, 신화역사공원과 헬스케어타운의 본격적인 개발은 건설폐기물에 대한 위기의식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서귀포시는 쓰레기 배출원별 맞춤형 관리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금의 시책은 가정 생활쓰레기에 집중됐다. 이제부터는 가정, 공공기관, 사업장별로 체계적인 관리를 하겠다. 가정에서부터 시작돼 공공기관으로, 사업장(건설업체 등)으로 동참이 확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태윤기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884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