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2030년까지 제주도를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들겠다는 'CFI 2030'계획을 수립하고 오는 2030년까지 친환경 전기차 37만 700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지난 2013년부터 전기차 민간 보급을 시작했지만 이달 현재 도내 전기차는 2만2148대로 계획 대비 10%에도 못미치고 있다. 전기차는 2013년 159대에서 2014년 500대, 2015년 1506대, 2016년 2744대, 2017년 3961대, 2018년 6996대로 정점을 찍은후 2019년 3998대, 2020년 366대로 크게 감소했다.
도내 공용충전기는 지난달말 현재 4359기(급속 1285기·완속 3074기)가 설치돼 있다.
전기차 보급이 부진한 것은 보조금 감소도 영향을 주고 있다. 소비자들이 지원받는 보조금은 2018년을 기점으로 1800만원에서 1400만원, 1320만원, 올해 1250만원으로 매해 감소하고 있다.
전기차 폐배터리를 이용하는 연관산업 육성도 부진하다.
제주도는 지난 2019년 전기차 폐배터리 자원순환체계를 목적으로 '전기차배터리 산업화센터'를 개소했다. 산업화센터는 현재 폐배터리로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8개 제품을 만들어 실증을 하고 있으나 제품 상용화는 멀기만 한 실정이다. 현재 수거된 폐배터리 178대이지만 2023년 3052대, 2024년 2416대, 2025년 4552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폐배터리 활용 제품 상용화에 한계를 보일 경우 '애물단지'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
특히 전기차 보급이 늘수록 도내 주유소와 카센터들이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산에 따른 기존산업과 상생협력 실행방안 연구에 따르면 2030년 전기차 100% 전환 시 도내 주유소 193곳 가운데 180곳이 폐업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종합정비소는 92곳에서 21곳으로 줄고, 전문정비소는 기존 388곳 모두 폐업 길에 들어선다. 연관 산업 업체 1곳당 피해 규모는 주유소 23억원, LPG 충전소 21억원, 종합정비소 6억9000만원, 전문정비소 1억2000만원 등이다.
이에 제주도는 업종 전환에 따른 폐업 보상금을 지급하고 자동차정비업체 정비요원을 대상으로 전기자동차 정비교육을 지원해 주고 있다.
지난 2020년 5월 6일 중소기업육성기금 규칙 개정을 통한 융자지원을 확대해 자동차종합정비업은 3억원에서 4억원으로 자동차전문정비업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했다.
제주시내 한 카센터 대표는 "전기자동차 정비교육을 받아도 카센터에는 전기차 수리 장비를 설치 할 수가 없다"며 "나중에는 자동차 엔진 오일이나 펑크를 떼우는 곳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이에 제주자치도는 전기차 보급확산으로 영향을 받는 연관산업 예상피해 최소화를 위한 분야별 추진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으며 친환경 개조차 등 신사업영역 발굴 등 기술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창조적 여건 마련을 통한 상생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도내 자동차 정비업체의 자생력 강화 및 전기자동차 보급에 따른 정비수요 사전 대응으로 전기자동차 운행에 따른 불안감 해소 등에 나서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