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확진자 입원기간 10→7일 단축 권고

정부 확진자 입원기간 10→7일 단축 권고
24일부터 지자체에 공문…"델타변이 증상발현 직후 3일 뒤 전파력 급감"
"환자 급증 따른 위중증 병상 부족 방지 취지…중환자 병상엔 적용 안해"
  • 입력 : 2021. 09.27(월) 13:52
  • 연합뉴스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의 입원 기간을 기존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는 방안을 권고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7일 코로나19 대응 백브리핑에서 "지난주 금요일(24일)부터 생활치료센터의 권장 재원 기간을 7일로 단축하는 공문을 일선 지방자치단체에 보냈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강제 기준은 아니지만, 감염병 전담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 입소자에대해 그간 10일의 권장 입원 기간이 있었다"며 "그러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의 특성상, 증상 발현 하루, 이틀 전부터 감염이 시작되고, 증상 발현 3일 후부터는 감염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이러한 과학적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도 "현재 국내에서는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 감염이 90%에 가까운 수준"이라며 "그간 바이러스의 특성이 파악되지 않은 상태에서 처음에는증상 발현 이후 2주일, 이후 10일로 조정해 관리해왔다"고 말했다.

 박 반장은 "이 과정에서 무증상 감염기에 바이러스 배출량이 많고, 이후 증상이발현된 이후에는 하루, 이틀만 배출량이 많다가 이후 뚝 떨어지는 양상이 나타나 재원 기간 (변경) 기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며칠간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증상 발현일로부터 일주일, 무증상 확진자도 확진일로부터 일주일을 기본 재원 기간으로 권고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같은 재원기간 단축 방안에 대해 정부는 최근 확진자가 3천명대까지 치솟으면서 시차를 두고 위중증 환자가 늘어 병상이 부족해지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라고도 설명했다.

 손 반장은 "지나치게 장기화하는 입원 기간을 단축해 병상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며 "의료체계 압박은 아직까진 크지 않지만, 환자가 급증한 이후 1∼2주의 시차를 두고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일주일이 지난다고 강제로 퇴원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기준 권고기간을 변경한 것이므로, 실제 퇴원 결정은 의료진의 의사 판단에 따르게 된다"며 "또백신 접종의 효과로 위중증률·치명률이 떨어지고 있어 지난해 12월과 마찬가지로 중환자 전담 병상이 급격히 줄어들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방역 당국은 권고안대로 확진자가 7일간 입원 후 퇴원하더라도 이후 3일간은 자가격리 수칙을 준수하면서 집에서 머물도록 했다.

 실제로 자가격리 통지서를 받은 밀접 접촉자는 2주간 자가격리에 들어가는데, 퇴원·퇴소자도 이에 준하는 수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다만 밀접 접촉자와 달리 격리 해제 전 별도의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하지는 않는다.

 박 반장은 "증상 발현 후 7일 이후부터는 감염력이 거의 없다고 본다"면서도 "생활치료센터나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퇴소한 후 3일 동안은 확진자 밀접 접촉자의 자가격리 수칙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말했다.

 박 반장은 밀접 접촉자가 확진자보다 더 장기간 격리된다는 지적과 관련해선 "밀접 접촉자는 14일의 격리 기간에 언제든 확진자로 전환이 가능하며, 발현 시기에 차이가 있어서 전염력이 높은 확진자가 될 가능성을 본 것"이라며 "다만 확진자는 감염력이 높거나 증상이 있는 시기를 넘긴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재원 기간을 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중환자 병상에는 재원기간 단축 권고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

 손 반장은 관련 질의에 "중환자 병상은 중증도가 나아지는 상황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원 일수보다는 환자 상태를 중심으로 판단한다"며 "이 밖에도 생활치료센터의 환자가 7일 이후에도 증상이 남아 의료적 지원이 필요하다면 계속해서 입원하게 된다"고 답했다.

 현재 의료 대응 체계를 보면 전체 중증 환자 전담 병상의 경우 50.5%(976병상 중 493병상)가 비어있다.

 또 감염병 전담병원은 35.1%(9천760병상 중 3천425병상), 생활치료센터는 39.6%(1만8천704병상 중 7천412명)의 여유 병상이 남아있는 상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975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