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ESS 신성장 산업 육성 갈길 멀다

제주 ESS 신성장 산업 육성 갈길 멀다
에너지저장장치 경제성 양수발전의 50%정도
제도개선 없을 경우 사업자 참여 기피 불가피
  • 입력 : 2021. 10.20(수) 17:20
  • 고대로 기자 bigroad@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 풍력발전단지. 한라일보DB

제주특별자치도가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경제성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난항을 겪고 있다.

 제주자치도는 ESS산업을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할 예정이나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국내 사업자들의 참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화력발전은 24시간 용량요금을 적용받고 있으나 ESS는 양수발전에 준하는 용량요금 적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용량요금은 가동이 가능한 발전 설비에 대해 실제 발전 여부와는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수준으로 지불되는 정부보조금 성격의 요금이다.

 ESS도 화력발전 처럼 충전시간(8시간)을 제외한 이외시간도 용량 요금에 포함시켜 줘야 하지만 정부에서 수용해 주지 않고 있다.

 제주자치도는 이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전력시장 운영규칙 개정을 요구했다.

 이에 산자부는 지난달 양수발전 용량요금(CP)지급률 개선 관련, '제3차 전력시장 운영규칙 개정 위원회'를 개최해 양수 펌핑시간(새벽 1~ 오전 8시)외 발전지시 이행가능시간대(오전 9시 ~밤 12시)에 대해 용량 정산금을 지급해 주기로 했다. ESS는 양수발전 정산 규칙을 준용하기로 의결했다.

 하지만 ESS 용량요금을 양수발전 정산 규칙으로 적용할 경우 경제성이 50%이상 떨어지게 된다. 화력·양수발전의 경우 발전시설 수명이 30년이지만 ESS 배터리 수명은 15년 정도에 그치기 때문이다.

 ESS는 생산된 전력을 전력 계통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전력 공급 안정화, 신재생에너지 확산등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녹색산업 분야의 핵심기술로 급격한 시장확대가 예상되는 신산업 분야이다.

 제주자치도 관계자는 "ESS 계통운영방식 및 발전지시 이행 가능 시간대 선정은 연구용역이 끝난후 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며 "용역은 현재 전력거래소에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42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