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이운의 문연路에서] "교육 경쟁력은 제주형 교육자치 완성"

[정이운의 문연路에서] "교육 경쟁력은 제주형 교육자치 완성"
제주교육 경쟁력 위해선
교육자치 완성 통해
미래교육 이끌어 나가야
  • 입력 : 2023. 06.27(화) 00:00
  • 오소범 기자 sobo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2007년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직선제 도입은 제주교육자치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교육감은 주민들의 직접적인 선택을 통해 선출되기에 선거 과정에서 주민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교육감은 중앙의 통제에서 벗어나 지역 실정에 맞는 교육자치를 실현할 수 있어 교육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특히 제주도교육감은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타 시도와는 차별화된 고도의 교육자치를 추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제주교육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자율학교 지정을 확대해야 한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는 특별법에 따라 제주형 자율학교를 지정·운영하면서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서 많은 자율권을 행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는 도내 초·중·고 192개 학교 가운데 고작 73개 학교만 자율학교로 운영하고 있다. 교육자치가 진정한 학교자치로 꽃피우기 위해서는 도내 모든 학교가 자율학교로 운영돼야 한다.

둘째 초·중 통합학교 운영 방법을 혁신해야 한다. 2023년 3월 현재 도내에는 5개교가 초·중 통합학교로 운영되고 있는데 도서 지역이나 읍면 지역에 있는 학교들이다. 학생들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까지 9년 동안 한 교정에서 공부할 수 있는 장점을 충분히 살리려면 통합교육이 제대로 돼야 한다.

셋째 국제교육도시에 걸맞은 미래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챗 GPT로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학생들이 주도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교육청에서는 스마트시티, 기후위기 대응, 생태환경교육, 외국어 교육 등 학교 실정에 맞게 다양한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넷째 교육자치 확대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제주와 세종에 이어 강원특별자치도가 출범했고 머지않아 전북특별자치도도 출범하게 된다. 이제 네 개 시·도는 교육자치에 걸림돌이 되는 법 조항에 대해서는 정부를 상대로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 제주특별자치도보다 늦게 출범한 다른 시·도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 미처 추진하지 못하는 교육 정책을 추진하며 경쟁할 공산이 크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 추진해 온 교육자치의 한계를 뛰어넘어 선두 주자로 부상한다면 뒤늦게 후회해도 소용없는 일이 될 것이다.

말로만 지역적·역사적·인문적 특성을 살린다고 역설하지 말고 창의성과 다양성을 바탕으로 학부모들과 지역 주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교육자치를 기대해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교육 지원 체제를 갖춰야 한다. 또한 제주의 지리적·문화적 특성이 조화를 이룬 교육환경을 잘 활용해 교육자치 완성을 통해 미래교육을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정이운 제주자치도의회 의원>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17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