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도에 가장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 해는 2016년이다. 당시 1585만명이 제주를 찾았다. 이중 중국 관광객의 비중은 19% 306만명이다. 이렇게 많은 중국 관광객이 제주를 찾을 수 있었던 이유 중에 가장 큰 것이 바로 대형유람선의 제주입항이었다.
대형유람선의 입항은 지역의 생활환경 부하와 깊숙이 연결돼 있다. 특히 쓰레기 문제에 민감하다. 일단 입항하면 관광객의 하선 여부와 관계없이 쓰레기를 버린다. 과거 기사를 확인해 보면 2t가량의 쓰레기를 버렸다고 한다. 2017년 3월 당시 언론보도를 통해 2t가량의 쓰레기만 버리고 간 선박은 선박 무게 11만4500톤에 달하는 초대형 선박이다. 총 3617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고, 선박 내에는 1068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많은 인원이 탑승하다 보니 일본 후쿠오카에서 출발해 제주에 기항하기까지 반나절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2t이나 되는 쓰레기가 발생한 것이다. 당시 세관 등에서 밝힌 내용을 보면 대부분 대형유람선이 통상 2t가량의 쓰레기를 배출했다고 한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보면 내년 제주에 입항을 신청한 대형유람선 372척이 입항할 때 버려지는 쓰레기는 최소 744t이다. 물론 제주도에서 지난해 하루 평균 생활쓰레기(소각, 매립, 재활용, 음식물쓰레기 포함) 배출량이 1000t이 넘으니 그 양이 많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연간배출량의 대략 0.4~0.5% 정도니 말이다.
하지만 고작 0.4~0.5%가 가져올 부하는 심각할 수 있다. 실제 제주도는 소각 부하와 매립 부하에 시달리던 2016년 8월 크루즈 선박의 쓰레기 반입을 금지했다. 그만큼 생활환경에 있어 0.4~0.5%가 가지는 파괴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환경부가 일회용품 규제를 크게 후퇴시키면서 생활쓰레기 부하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로 관광업계가 힘든 시기를 겪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급작스러운 양적 관광 확대에 따른 준비는 또 다른 이야기다. 관광산업은 호황을 맞을지 모르지만 이에 대한 환경비용은 도민들이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크루즈 선박이 많이 찾는 항구지역에서는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해 들어오는 선박의 수를 제한하거나 특정 구역에 선박 출입 자체를 통제하고 있다.
왜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가? 결국 지역주민이 불편하고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환경위기의 시대에도 모든 것을 경제성만 두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지금의 경제성이 미래의 자산을 당겨쓰는 일이 될 수도 있음을 우리는 자각해야 한다. 대형유람선의 급격한 입항 증가에 대한 대비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필요하다면 무턱대고 받을 것이 아니라 지역의 환경수용성을 충분히 검토하고 적정선을 찾아야 한다. 부디 미래세대에게 빚을 지우는 일이 없도록 제주도가 철저한 대비를 해주길 바란다. <김정도 제주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