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논분화구 프로젝트 세계의 보물로](6) 복원의 목표와 단계적 구상
예산 확보·주민 등 이해당사자 참여 협조·정책적 결단 필수복원 대상지 정보 축적·환경영향·유사 생태계 지역 등 평가 하논분화구복원의 기본틀은 이 사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하논분화구복원기본계획은 하논분화…
강시영 기자 ㅣ 2016. 09.29.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환경이 미래다(40)](18)돌발 병충해에 신음하는 제주숲(하)
돌발적 산림병해충 30여종 집계추자 솔껍질깍지벌레 피해 심각해송 340㏊ 중 270㏊로 '광범위'왕벚·참나무·동백나무도 직격탄폭염·가뭄… 가로수도 시들시들인력·예찰 등 방제시스템 재검토 지난 여름 취재진이 찾은 추자도…
강시영 기자 ㅣ 2016. 09.21. 00:00:00
[한라칼럼]만장굴 발견 70주년, 부종휴와 꼬마탐험대
세계인의 보물, 만장굴이 세상에 드러난 때는 광복 이듬해인 1946년이다. 만장굴의 처음과 끝의 전모를 밝힌 때가 그해 10월초다. 전인미답의 만장굴의 실체와 태고의 신비를 세상에 처음 알린 때다. 70년 전의 일이다. 그 주역은 …
강시영 기자 ㅣ 2016. 09.20.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환경이 미래다(39)](18)돌발 병해충에 신음하는 제주숲(중)
한라산에 참나무류 26% 집단 분포"언제든 유입 가능성" 예찰조사 강화'제2의 재선충병'… 산림 초토화 우려이동제한 장치도 없어 유입 무방비 제주 소나무숲을 황폐화시키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에 이어 참나무시들음병의 제…
강시영 기자 ㅣ 2016. 09.19. 00:00:00
[제주의 자존, 한라산을 말하다](13) 제3부 한라산 훼손지 복구·복원 30년
① 정상부 복구현장을 가다 훼손지 복구가 시작된지 30년 째. 지금 한라산 훼손지는 제 나름의 속도로 자연력을 회복중이다. 사람들의 발에 채이고 강한 비바람에 깎여 속살을 드러냈던 땅은 이제 푸르름을 머금었다. 군데군데…
강시영 기자 ㅣ 2016. 09.19.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환경이 미래다(38)](18)돌발 병충해에 신음하는 제주숲(상)
올해초까지 161만그루 잘려 나가제주 전체 소나무림 13.4% 규모2004년 이후 방제비용 1500억원솔껍질깍지벌레·솔나방도 기승 소나무재선충병으로 심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제주 숲이 온갖 병해충으로 신음하고 있다. 제주의 소중…
강시영 기자 ㅣ 2016. 09.13. 00:00:00
[하논분화구 프로젝트 세계의 보물로](5) WCC 발의안 채택 과정과 의미
하논의 과거-현재-미래 함축적으로 표현IUCN 회원국 총회 복원·보전 발의안 채택복원프로젝트 위해 국제공조 확산 이어져 하논 분화구는 2012년 제주에서 개최된 세계자연보전총회(WCC)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한다. '하논분화구 …
강시영 기자 ㅣ 2016. 09.12.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환경이 미래다(37)](17)오름 민원 어떻게 할 것인가(하)
사유지 오름 절반 이상 민원 대상동일한 기준 형평성 원칙 지켜야곶자왈 경계조사 사례 대안 제시도시·환경국 유기적 업무협력 필요 오름을 지정하고 보호·관리하는 주된 목적은 제주의 환경자산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전·…
강시영 기자 ㅣ 2016. 09.09.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환경이 미래다(36)](17)오름 민원 어떻게 할 것인가(중)
평탄면도 오름 구역으로 포함경관 1·2등급 하향 조정 요구일부는 오름흔적 찾기 어려워특정오름 두 개 관리방식 원성 사유지 오름과 관련한 민원의 유형은 크게 다섯가지로 분류된다. 경계 재설정(60개), 일부 제척(9개), 경관 …
강시영 기자 ㅣ 2016. 09.08.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환경이 미래다(35)](17)오름 민원 어떻게 할 것인가(상)
제주오름 88% 제주특별법 포함11개의 복수 법령으로 보전관리사유지 오름 관련 민원 172건도 “불합리한 부분 조정 검토” 제주의 대표적 환경 자산중 하나인 오름 중 사유지 오름의 경계선, 오름의 형태 유무, 관리방식 등을 놓…
강시영 기자 ㅣ 2016. 09.07.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환경이 미래다(34)](16)생물주권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하)
다양한 생물자원 연구 최적지 불구제주 국립생물자원관 번번이 무산환경부 "제주 차별화 전략 세워야" 독보적인 국제보호지역이자 생물자원의 보고인 제주에는 해묵은 현안이 여전히 미제로 남아 있다. 바로 제주권 국립생물…
강시영 기자 ㅣ 2016. 09.06.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 환경이 미래다 (33)]16. 생물주권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중)
이른바 생물주권시대인 요즈음 생물다양성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서식지 훼손과 감소'라는 제주도민 인식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제주의 환경자산인 곶자왈과 오름, 해안은 개발 대신 복원에 중점…
강시영 기자 ㅣ 2016. 09.01.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 환경이 미래다(32)] 16. 생물주권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상)
지구촌 '종자주권시대' 핵심요소육·해상 생물자원 정보구축 안돼대부분 기존 8500여종 자료 인용 제주는 다양한 생물종이 분포하는 '생물자원의 보물창고'로 불린다. 섬이라는 특수성과 한라산, 곶자왈 등의 영향으로 제주에 …
강시영 기자 ㅣ 2016. 08.31. 00:00:00
[하논분화구 프로젝트/ 세계의 보물로](4)한반도 최대 분화구와 화구호
지구환경 변화 기록된 독보적 자원 평가경작 등으로 화구호와 천연 식생 사라져 한반도 최대 규모의 마르형 분화구인 하논은 약 5만년 동안의 다양한 지구환경의 변화가 기록된 독보적인 자원으로 최근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
강시영 기자 ㅣ 2016. 08.29. 00:00:00
[청정과 공존 제주 환경이 미래다 (31)]15. 생물권 브랜드 실태와 과제(하)
▶신안·고창 행정구역 전체가 생물권= 전라남도 신안은 지리적 특수성으로 '고립'과 '낙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런 신안이 환경과 삶의 터전인 갯벌, 느림의 가치에 주목하면서 비상하고 있다. 신안은 2009년 5월 유네스코 …
강시영 기자 ㅣ 2016. 08.2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