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 전경. 한라일보DB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항 컨테이너 표준화·공동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제주형 혁신 물류단지 조성'을 재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2017년 제주항 배후단지 물류단지 개발 로드맵 발표 후 제주기반 물류업체들이 특수목적법인(SPC)을 구성해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힘에 따라 민간개발방식으로 '제주항 배후 물류단지' 개발사업을 진행했으나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적합한 물류단지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추진이 전면 보류됐다.
하지만 현재 컨테이너 화물 해체 작업이 제주항 부두에서 시행되면서 부두 혼잡 및 물류비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고, 도내 인구 급증 및 물동량 증가에 따른 물류창고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물류단지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내 물류창고 45개 중 일반창고가 20개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유통 및 택배위주의 물류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상온창고이다. 냉동·냉장 창고는 농협이 농수축산물을 위해 운영중이다.
이에 제주자치도는 민간공동개발이나 공공주도형 개발 등 다양한 추진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제주항의 화물에 대한 물류단지 규모는 물류시설 용지와 공공용지 기준으로 약 19만㎡로 예상됐다. 2022년부터 2031년까지 총 3578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물류단지는 물류터미널·공동집배송단지·도소매단지·농수산물도매시장 등의 '물류시설'과 정보·금융·입주자 편의시설 등의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토지이다. 물류단지는 시설용지가 지원시설용지보다 넓어야 한다.
제주형 혁신 물류단지는 인구 및 물류창고의 시설부족 문제 해소와 배후 부지가 없어 부두에서 비규격 컨테이너 화물 해체 작업 등으로 혼잡한 제주항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수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제주형 컨테이너(8ft·10ft)와는 다르게 편도 운임을 지불하는 표준 컨테이너를 이용할 경우 화주의 물류비 부담이 감소됨에 따라 수송비용 절감효과가 기대된다.
물류단지에서 대량 고정 물량을 확보하게 되면 물류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는 비규격 컨테이너를 표준 컨테이너로 점진적 대체가 가능케 하며, 제주지역의 고질적인 저효율 물류체계 개선을 위한 핵심 인프라시설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제주도는 전망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앞으로 제주도 물류정책의 실행 가능성 제고를 위한 전담조직 설립 필요성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제주국제자유도시 3차 종합계획에 포함시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