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심고 목재를 생산하는 일! 이것은 지속적인 산림관리의 시작이며, 자연과 인간에게 꼭 필요한 일이다.
우리나라는 일제의 목재 수탈과 전쟁 피해, 연료 사용 등으로 헐벗은 산림을 녹화하기 위해 나무를 심었다. 이런 노력으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산림녹화에 성공한 나라가 됐으며, 나무를 심는 목적 또한 경관용, 내화(산불에 강한 나무)용, 방풍(바람에 잘 견디는 나무)·방연(탄소흡수 등 대기오염에 강한 나무)·경제수(목재로써 사용할 나무) 등으로 그 사용 목적과 생육환경을 고려해 변화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 50여년 간 산림의 조기 녹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숲 가꾸기와 병충해 방제 목적 외의 목재생산을 엄격히 제한해 왔다. 그 결과 산림녹화는 이뤘으나, 정작 목재를 생산해 가공·활용하는 기업은 원재료를 수입에 의존하게 돼 다른 산업에 비해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이제는 산림정책에도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50여 년 동안 묵묵히 산을 가꿔 온 산주와 임업인들은 소유 산림이 사유재산이지만 국토 보전과 공익이라는 이유로 재산권이 침해당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정부는 목재생산 행위를 엄격히 제한하기보다는 벌기령에 도달한 나무와 이용 가치가 낮은 나무를 활용함으로써 목재 수입에 의한 외화 유출을 줄이는 동시에 우수한 재질과 탄소흡원 증진에 유익한 종류의 나무를 심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국산 목재 수요에 부응하고, 산림의 공익기능을 최대화해 다양한 산림서비스를 제공하는 산림으로 바꿔야 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목재생산=환경 파괴'를 이유로 숲의 보존만을 주장한다. 지금부터라도 목재생산의 필요성 자체를 부정하거나 축소하는 논쟁보다는 인간의 생산활동과 생태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공익과 실익이 포함된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
<한민 산림조합중앙회 제주지역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