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해녀 103명의 물질 인생을 담다

고령 해녀 103명의 물질 인생을 담다
제주도, 해녀 생애사 조사보고서 발간
  • 입력 : 2024. 05.24(금) 00:00
  • 박소정 기자 cosorong@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특별자치도가 1940년대 전후 출생한 80세 전후의 고령 해녀를 중심으로 해녀들의 일생을 조사한 생애사 조사보고서 '잠녀 아니 댕기믄 바당 엇어져 갈거'를 발간했다.

23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해녀는 1970년대 1만 4000여명에서 지난해 기준 2839명으로 80% 정도 감소했다. 현직 해녀 중 70세 이상이 60%를 차지하며 물소중이를 입었던 전통 해녀문화의 단절이 우려됨에 따라 이번 조사를 진행하게 됐다.

이번 조사 보고서에는 추자, 우도, 가파 등 제주도내 103개 어촌계 소속 80세 전후 103명의 해녀들의 일생을 담았다. 해녀 개인에 대한 기본조사와 함께 물질을 통한 생애사 조명에 초점을 두고 유년시절 물질의 시작, 결혼·출산과 물질, 바깥물질 생활, 해녀공동체와 바다 생태계, 해녀의 신앙 의례, 물질생애의 회고와 전망 등을 중심으로 물질과 관련된 활동 내력을 집중 조사했다.

특히 같은 직업군의 생애사를 대규모로 자료화 한 연구서로 지난 2014년 제주도에서 발간한 조사 보고서 '숨비질 베왕 남주지 아녀' 이후 10년 만에 발간한 대규모 조사보고서의 의미를 지닌다.

보고서에 소개된 해녀들의 평균 연령은 84세이며 이 중 90세 이상이 9명, 최고령은 95세다. 일제강점기 일본과 남양군도에서 태어나 고향으로 귀국한 해녀 12명의 이야기도 담겼다. 제주해녀의 기록들을 통해 8·15 광복, 제주 4·3,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격동기도 엿볼 수 있다.

구술자 선정에 있어서는 가급적 선행 자료에 소개되지 않은 해녀들을 우선해 기록했으며, 해녀들이 직접 물질하는 바다밭 지명과 특징을 구술한 지면을 할애해 해양수산 전통지식을 담아내려 노력했다.

이태윤기자

개교 72돌 제주대 “지역사회와 상생 모색”

제주대학교는 개교 72주년을 맞아 23일 대학 아라뮤즈홀에서 개교 기념식을 개최했다.

김일환 총장은 이날 식사를 통해 "출산율이 갈수록 낮아지고 그에 따른 학령인구 절벽이 가속화되면서 사회 전반이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때일수록 우리 대학교는 제주 사회와 함께 상생 발전의 모델을 만들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또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을 통해 제주 사회가 강점을 지닌 산업을 발전시키고 그와 연계한 교육이 제주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졸업생들이 제주에 안착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면 지금의 위기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대는 이날 장기재직 교직원에 공로패 전달, 우수·모범 교직원 포상에 대한 시상도 진행했다.



산남새마을금고 도순마을 경로잔치 지원

산남새마을금고(이사장 박성길)는 지난 22일 서귀포시 도순마을에서 주최한 '2024년 도순마을 경로잔치'에 참석해 어른 공경과 지역사회 '효(孝)' 정신 실천의 일환으로 120만원 상당의 지원을 통해 점심 식사를 대접했다. 산남새마을금고는 앞으로도 지역사회를 위해 다양한 지원 사업을 전개할 것이라고 했다.



동홍동 경로잔치 효자·효부상 시상

동홍새마을금고(이사장 김장관)는 지난 21일 서귀포시 동홍동과 동홍동새마을부녀회가 마련한 어버이날 기념 경로잔치 행사에서 효자·효부상 시상식을 가졌다. 수상자는 동홍동(동장 정현부)에서 추천을 받은 한지숙(동홍동), 강희영(동홍동)씨로 이들에게는 금 10돈이 전달됐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70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