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풍력발전지구. 한라일보DB
제주특별자치도는 2023년 제28차 유엔기후변화 당사국총회(이하 COP28)를 유치할 예정이다.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총회에서 COP28개최국이 결정되며, 만약 한국이 개최국으로 확정되면 환경부가 개최도시를 공모·선정하게 된다. 제주자치도는 '탄소 없는 섬 2030(CFI 2030)' 프로젝트를 통해 기후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가장 적합한 'COP28' 개최 도시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의 'CFI 2030'추진 실태와 과제를 3회에 걸쳐 게재한다.
제주자치도는 2012년 '카본프리아일랜드(CFI) 2030추진계획을 수립했다.
CFI 2030은 오는 2030년까지 제주자치도를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들겠다는 정책이다, 2015년 파리 협정 이후 한국은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37% 정도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기로 약속했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2012년 'CFI 2030'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제주자치도는 2019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추세와 잠재량, 정부의 계획 등을 고려해 'CFI 2030'계획을 수정 보완하고 4대 정책 목표 관련 지표를 선정했다. 4대 정책 목표 관련 지표는 도내 전력 수요 100%에 대응하는 풍력과 태양광등 신재생 에너지 설비(발전설비 4085MW보급) 도입▷친환경 전기차 37만 7000대 도입▷ 최종 에너지 원 단위 0.071 TOE/백만원 실현▷에너지 융복합 신산업 선도이다.
▷풍력 신재생 에너지 설비=제주도는 오는 2030년까지 도내 전력 수요 100%에 대응하는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신재생 에너지 가운데 풍력발전 설비 목표는 2345MW(육상풍력 450MW· 해상풍력1895MW)이다. 하지만 이달 현재 도내 풍력발전설비량은 294MW로 목표대비 약 10%에 그치고 있다.
이 가운데 육상풍력발전설비는 264MW로 450MW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186MW설비를 추가 건설해야 한다. 현재 도내 육상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는 113기이다. 3MW급 발전기 약 60개를 추가 설치해야 한다.
또 이달 현재 해상풍력발전 설비규모는 30MW에 그치고 있다.
2030년까지 1895MW달성을 위해서는 고정식과 부유식을 포함해 총 1865MW 추가 건설이 필요하다. 3MW급 발전기 약 600개를 추가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제주시 한경면 두모리 금능리 앞바다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에는 3MW급 해상풍력발전기 10기가 설치돼 있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발전사업에 비해 더딘 것도 문제이다.
대정해상풍력(100MW)은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고 한림해상풍력(100MW)도 전기사업허가 까지 받았으나 진척이 느리다.
도내 한 해상풍력발전 관계자는 "제주도의 계획에 따라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주민 반대로 사업이 중단된 상태"라며 "풍력발전 계획을 세운 행정에서는 사업자가 알아서 해결하라고 뒷짐을 지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풍력발전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 될 경우 경관문제도 심각하게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대 A교수는 "풍력 발전기가 한 두개 정도면 그나마 이국적으로 볼 수도 있는데 제주도 전지역에 풍력발전기가 설치되면 경관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며"풍력발전설비공사로 인해 자연까지 훼손될 수 밖에 없다. 또 현재 풍력발전기에서 필요이상으로 많은 전기를 생산하는 바람에 전력망에 과부하가 발생해 발전기가 멈추는 일이 50회 이상을 넘고 있다. 이제는 신재생 에너지 보급 목표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시점에 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