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통령선거에서도 소위 2030세대인 '청년문제'가 화두였다. 특히 2030 청년이 보여준 개성 있는 남녀 양극화는 지지도 표를 분석하는 중요한 논쟁으로까지 번졌다.
이번 대선과 마찬가지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청년'에 대한 고민은 매번 선거 이슈였고, 다가오는 지방선거 주자들 역시 청년에 대한 각종 공약들을 쏟아내고 있다.
점점 고령화돼가는 국가에서 청년은 미래 희망에 대한 청사진이기 때문에 청년문제에 대한 정책적 요구와 지원 논의는 지속돼 왔고 앞으로도 더 다양하게 확대될 것이다.
1910년대에만 해도 청년은 조선에서 핫한 단어였다고 한다. 1903년 서울에 '황성기독청년회'라는 이름으로 YMCA가 탄생한 이후 신조어가 돼 급속히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소년으로 있다가 장가를 들면 바로 장년이 되고 말았기 때문에 청년이란 말은 새로운 말일 수밖에 없었다. 청년에 대한 의미 역시 문화운동의 주역으로서 새로움과 신문명의 건설, 사회의 동적 방면 진보세력을 대표하는 자로 봤다.
훙커우 공원의 의거 이틀 전, 25살 청년이었던 윤봉길 의사의 '피 끓는 청년제군들은 아는가'로 시작되는 '조선 청년에게 고함'이란 격문을 보더라도 진보적 역동감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청년은 젊음과 도전의 이미지로 상징되고 있지만, N가지를 포기한 N포세대부터 모든 트렌드의 종결자인 MZ세대까지 긍정과 부정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성향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와 남과 다른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단순 명료한 시대에 살았던 586세대인 필자로서는 이해하기도 벅차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이 청년의 시기를 거쳐 미래를 담당해야 하기에 어떤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정부는 물론 제주에서만 해도 청년정책에 매년 600~7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하지만 사회적 현실은 '3포(취업, 결혼, 출산)세대', '5포세대(내집마련, 인간관계)'에 이어 심지어 '7포세대(꿈, 희망)'라는 현실에서 더 이상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청년들의 사회적 기대 가치도 급속히 낮아지고 있다.
이런 이유가 뭘까. 아마도 아직까지 청년 지원은 사회일원으로 다각도적인 청년들의 욕구 파악보다는 서열화된 고용정책으로만 귀결돼온 것에 원인이 있어 보인다.
물론 최종 목적은 고용이 되겠지만, 삶의 질을 보장하는 방향에서 그들의 개성을 존중하면서 인력을 양성하는 관리적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 정책에도 준비된 청년으로 출발할 수 있도록 주거, 건강 등 여러 차원에서 지자체에서 지원하고 있지만, 특히 제주 섬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느끼지 않도록 다양한 기회제공 교육 확대가 요구된다. <오수정 사)한산부종휴선생기념사업회 사무국장>